공공기관에서 상사의 진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와 향상초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공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요구나 국민의 서비스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민간 기업에서와 같이 상시 경영혁신이 요구되는 대내외 환경으로 인해 공공기관의 구성원들 또한 개인혁신활동으로서의 혁신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에서도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의 발현이 무엇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A공공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진성 리더십이 상사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성 리더십과 상사신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조절된 매개효과 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3; no. 11; pp. 2013 - 2042
Main Authors 김재영(Jae-Young Kim), 이병욱(Byung-Wook Lee), 임종진(Jong-Jin Im), 윤동열(Dong-Yeol 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11.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공공기관에 대한 정부의 요구나 국민의 서비스 기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민간 기업에서와 같이 상시 경영혁신이 요구되는 대내외 환경으로 인해 공공기관의 구성원들 또한 개인혁신활동으로서의 혁신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에서도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의 발현이 무엇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A공공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진성 리더십이 상사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성 리더십과 상사신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의 조절된 매개효과 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304명의 유의미한 답변을 얻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첫째, 진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셋째, 상사신뢰는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상사신뢰는 진성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향상초점은 진성 리더십이 상사신뢰를 매개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진성 리더십은 공공기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 유형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를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 등 일터 환경 조성과 구성원의 향상초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 수립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required innovative behaviors as individual innovation activities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constant management innovation is required as it is in private companies since the government's demands and expectation level of people rise. Therefore, leadership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promote innovative behaviors of the members in organiz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trust in leader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romotion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trust in leader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is purpose, answers of 304 respondents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argeting members working in a public institu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leade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n lead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rust in leader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he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hav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through the mediation of trust in lea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uthentic leadership is recognized as a leadership type which can promote innovative behaviors of members in public institutions.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necessity of creating workplace environment and developing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can enhance trust in leader and for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which can increase the level of promotion focus of members in organization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