幽居를 통해 본 李震相의 시세계

본 연구는 한주시(寒洲詩)를 정적(靜的)인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첫째, 한주는 습정(習靜)의 의지를 강력하게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독서시(讀書詩), 교유시(交遊詩), 자연시(自然詩) 등에서 염정(恬靜)․정계(靜界)․영정(寧靜)이란 시어로 표출되었다. 그가 말하는 습정은 체도(體道)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자신이 자연에서 안분(安分)하며 성인이 이상을 그 속에서 실현해보려는 의지를 피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주는 대내외적으로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지식인으로서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시에 담았다. 우국(憂國)․우민(憂...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논집 Vol. 69; pp. 179 - 203
Main Author 오용원(Oh Young-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12.2017
한국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17..69.0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한주시(寒洲詩)를 정적(靜的)인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첫째, 한주는 습정(習靜)의 의지를 강력하게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독서시(讀書詩), 교유시(交遊詩), 자연시(自然詩) 등에서 염정(恬靜)․정계(靜界)․영정(寧靜)이란 시어로 표출되었다. 그가 말하는 습정은 체도(體道)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자신이 자연에서 안분(安分)하며 성인이 이상을 그 속에서 실현해보려는 의지를 피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주는 대내외적으로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지식인으로서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시에 담았다. 우국(憂國)․우민(憂民)․우세(憂世) 등을 주제로 한 그의 시에는 결국 무우(無憂)를 추구하려는 그의 의지가 고스란히 녹아 있었다. 그가 추구하려던 무우(無憂)의 경지는 안연(顔淵)이 실천했던 단표누항(簞瓢陋巷)의 진락(眞樂)이었으며, 성인의 도를 체득하는 것이 면학(勉學)의 궁극적 목표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거(幽居)의 즐거움을 누리던 그는 자신이 깨달은 경설(經說)․성리설(性理說) 등을 시로 오롯이 표출하였고, 그 근원을 주자와 퇴계에 두고 있음을 밝혔다. 본문에서 인용한 양명학(陽明學)․불교(佛敎) 배척 의지를 담은 시, 퇴계와 남명의 학문적 연원이 똑같이 주자에 있음을 강조한 시 등을 통해서도 이런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onsidered Hanjusi[한주시] in a static aspect. First, Hanju[한주] had powerfully willingness of Seupjeong[습정], this was expressed as a librarian like Yeomjeong[염정], Jeonggye[정계], Yeongjeong[영정] in Dokseosi, Gyoyoosi, Jayeonsi so on. The Seupjeong[습정] what he say has meaning of Chedo[체도], and that he has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be content in nature and realize the ideals of adult. Second, Hanju[한주] put into poem his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as a intellectuals for living in a time of chao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poem under the theme as Uguk[우국], ignorant[우민], Use[우세] as on reflected his willingness to pursue Muwoo. The stage of Muwoo that he wanted to pursue is Jinrack of Danpyonuhang that Anyeon practiced, we could understand that learning a enlightened was a ultimate goal. Third, He living in seclusion expressed Kyeongseol, Seongriseol so on what he realized in a poem, define that source place into Juja, Toigye. We can be confirmed this fact through a poem showing exclusion of Yangmyeonghak, Bulgyo quoted in the test, a poem emphasizing that a academic source of Toigye and Nangmyeong.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ewcms.kmu.ac.kr/actakoreana/index.do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17..69.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