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다문화청소년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4차 년도부터 6차 년도까지의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가족지지는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각각의 종단적 매개효과를살핀 결과,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런 결과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6; no. 11; pp. 209 - 215
Main Author 박희서(Hwieseo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11.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1.26.11.2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다문화청소년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가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4차 년도부터 6차 년도까지의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 가족지지는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각각의 종단적 매개효과를살핀 결과,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런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가족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ing pattern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nd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on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from the 4th to 6th years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decreased for 3 years through each linear change mod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ultivariate potential growth mode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family support of multicultural youth were presented.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1.26.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