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공화주의 시민교육
이 연구는 도산 안창호의 민족운동을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으로 파악하고 그의 교육운동을 민주시민교육으로 연구하였다. 도산 안창호는 근대 민족지도자 가운데서 드물게 찾아볼 수 있는 공화주의 민족혁명가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범할 때 민주공화제를 정체로 채택했지만, 민족운동 과정에서 민주공화제를 실천하려 했던 지도자는 소수였다. 도산은 그러한 지도자 가운데서 단연 독보적인 존재였다. 도산의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은 1912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조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대한인국민회는 지방회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전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논집 Vol. 67; pp. 37 - 9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06.2017
한국학연구원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902 2671-7492 |
DOI | 10.18399/actako.2017..67.002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도산 안창호의 민족운동을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으로 파악하고 그의 교육운동을 민주시민교육으로 연구하였다. 도산 안창호는 근대 민족지도자 가운데서 드물게 찾아볼 수 있는 공화주의 민족혁명가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범할 때 민주공화제를 정체로 채택했지만, 민족운동 과정에서 민주공화제를 실천하려 했던 지도자는 소수였다. 도산은 그러한 지도자 가운데서 단연 독보적인 존재였다. 도산의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은 1912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조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대한인국민회는 지방회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전부 국민회원이 되게 하고 지정된 의무금을 납부하게 하며 자치제도를 실시하도록 결정하였다. 도산은 해외 한인을 망라하는 공화주의 자치조직으로 대한인국민회를 결성하고, 이를 토대로 일제로부터 해방을 쟁취하는 독립운동과 민족국가건설운동을 달성하려 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결실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도산은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도산은 임시정부가 공화주의 민족혁명의 최고 지도부가 되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도산은 민족운동의 발전을 위해 시급한 것은 과거에 신민으로 살았던 습관을 스스로 황제가 되는 습관으로, 따라서 인민 전체가 주권자가 되는 습관으로 개조해야 하는 것이라 역설하였다. 주권자가 되는 습관개조에서 도산은 국민의 개병주의(皆兵主義)·개업주의(皆業主義)·개납주의(皆納主義)를 강조하였다. 이와 함께 또한 그는 민족적 통일 없이는 독립을 성취할 수 없다고 전제하고 독립을 달성하자면 반드시 통일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그는 또한 망명지에서 임시정부운동의 국민적 기반을 조성할 필요에서 이상촌건설운동을 전개하였다. 도산은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근대적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시민교육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도산은 민족일반을 상대로 한 공화주의 시민교육운동을 민족운동의 중심사업의 하나로 전개하였다. 근대적 민족의식의 각성은 중세적 신민에서 근대적 국민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산은 이를 인격혁명, 민족개조란 용어로 표현하였다. 그 개조의 핵심은 민족 각자가 민주공화국의 주권자임을 명확히 각성하는 것이고, 이 각성을 바탕으로 민족혁명의 중핵이 될 국민 개병주의(皆兵主義)·개업주의(皆業主義)·개납주의(皆納主義)를 실천하는 것이었다. 도산은 이러한 혁신을 위해 생활문화 전반의 개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결합해 도산은 공화주의 민족혁명운동의 중견을 육성할 목적으로 1912년 흥사단을 창립하였다. 공화주의 사회에서는 구성원 각자가 주권자로 사회운영의 주체가 되는 것 못지않게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다양한 견해를 민주적으로 수렴해 다수가 합의하는 공론을 형성할 수 있는 역량이 반드시 필요하다. 흥사단은 이러한 공론을 형성하고 통일을 이루어 낼 중추세력과 지도자를 양성하는 보다 고차적이고 강도 높은 교육조직이었다. 도산의 민족교육운동은 미국에서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시기부터 임시정부 참여 이후까지 계속되었고, 그가 상하이에서 조직한 흥사단 원동위원부는 해방을 맞을 때까지 활동을 지속하였다. In this study, Tosan Ahn Ch’ang-ho’s national movement was recognized as a republican Independence Movement and his educational movement was studied by democratic civic education. Ahn Ch’ang-ho was a revolutionary nationalist revolutionary who was rarely found among modern national leaders.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the Democratic Republic was adopted as a political system, but only a handful of leaders tried to practice democratic republicanism in the process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hn Ch’ang-ho was unrivaled among the republican national leaders. Ahn Ch’ang-ho’s republic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tarted when he organized the general assembly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KNA) in 1912. The Central Council of the KNA decided to automatically make all Koreans residing in the territory of the provincial council become members of the province, to pay the designated dues, and to implement the self - governing system. Ahn Ch’ang-ho, a republican self-governing organization encompassing Korean immigrants, formed the KNA and sought to achieve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state building movement that won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1919,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was established with the fruits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hn Ch’ang-ho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hn Ch’ang-ho tried to make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supreme leader of the republican independence movement. He emphasized that the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to transform the habits of living as a premodern servant into the habit of becoming an emperor himself, and thus the whole people as a sovereign. In the reform of habits to become sovereign, Ahn Ch’ang-ho emphasized the public’s universal conscription system(皆兵主義), the obiligation to have a job(皆業主義), and the national tax obligations(皆納主義). Along with this, he repeatedly emphasized that he could not achieve independence without national unification and that he must strive for unification to achieve independence. He also developed the model community(理想村) project in the need to create the national found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movement in the exile. Ahn Ch’ang-ho considered that the civic education that awakens the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should be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develop the republic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us, Ahn Ch’ang-ho developed the Republican citizen education movement against the national general as one of the centr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movement. The awakening of the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medieval people to the modern people, which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personality revolution and the national renovation. The core of the renovation is that each people is clearly awakening that it is the sovereign of the democratic republic, and based on this awakening everyone is doing the duty-皆兵․皆業․皆納- of the people. He saw the necessity of renovating the overall lifestyle for such innovation. In conjunction with this, he founded Heungsadan(흥사단) as the backbone of a republican society in 1912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center of the Republic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republican society, it is essential that each member constitutes a sovereign as the subject of social administration, and the ability to converge various opinions among individuals or groups democratically to form a consensus public opinion. He was a more advanced and intense educational organization that fostered centralism and leadership to shape this public consensus and achieve unification. Ahn Ch’ang-ho’s national education program continued from the time of the KNA in the United States until the particip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Far Eastern branch of Heungsadan he organized...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newcms.kmu.ac.kr/actakoreana/index.do |
ISSN: | 1738-8902 2671-7492 |
DOI: | 10.18399/actako.2017..67.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