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영양플러스 수혜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및 식습관, 식사섭취상태 비교

본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및 식생활 현황, 영양지식 수준,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하고 영양플러스 수혜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혼이민여성 중 영양플러스 수혜자는 비수혜자보다 식습관, 식생활, 영양지식 점수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양플러스 사업을 통해 더욱 바람직한 식습관과 건전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영양소 섭취에서도 영양플러스 수혜자가 비수혜자보다 섭취상태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8; no. 6; pp. 675 - 685
Main Authors 조미영(Mee-Young Joe), 황지윤(Ji-Yun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9.48.6.67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12년 1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233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사항, 식습관 및 식생활 현황, 영양지식 수준,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하고 영양플러스 수혜 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혼이민여성 중 영양플러스 수혜자는 비수혜자보다 식습관, 식생활, 영양지식 점수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영양플러스 사업을 통해 더욱 바람직한 식습관과 건전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영양소 섭취에서도 영양플러스 수혜자가 비수혜자보다 섭취상태가 양호하였다. 수혜자는 철(P=0.009), 나트륨(P=0.008), 비타민 A(P=0.029), 리보플라빈(P=0.047), 비타민 C(P=0.012), 콜레스테롤(P=0.037) 등 6가지 영양소에서 비수혜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칼슘의 경우 평균필요량 이하 섭취자 비율이 두 그룹 모두에서 50%가 넘었으며(65.9%), 영양플러스 비수혜자의 경우 엽산도 평균필요량 이하 섭취자 비율이 54.1%로 조사되었다. 영양플러스 수혜자는 비수혜자보다 비교적 규칙적인 식습관과 바람직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영양지식 수준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나타냈다. 따라서 결혼이민여성 중 영양플러스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정보가 차단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영양플러스 사업을 통한 결혼이민여성 대상 영양교육의 진행은 타국 생활에 있어 순조로운 정착을 도우며, 주부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을 함양하고 나아가 다문화가정 구성원 전체의 바람직한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and nutrient intakes of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Nutrition-Plus program. A total of 233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were recruited from public health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the Seoul Immigration Office.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includ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face-to-face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ean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ose who underwent the Nutrition-Plus program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0.002, P=0.007, respectively). Additionally, those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a more balanced diet and higher total scores on the mini dietary assessment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P<0.001). Furthermore, subjects who underwent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higher scores regarding questions about functions of cereals (P=0.010) and meat and fish (P=0.010), as well as higher overall scores (P=0.004)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ith regard to nutrient intake, those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wed more intake of iron (P=0.034), sodium (P=0.007), vitamin A (P=0.049), riboflavin (P=0.025), vitamin C (P=0.019), and cholesterol (P= 0.063) after adjusting for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number of children and BMI. Subjects who received the Nutrition-Plus program had more balanced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greater food and nutrient intake than those who did not.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utrition-Plus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to establish a healthy diet.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19.48.6.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