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토양과 모래 식재층 지반의 토양 물리성 및 화학성 비교

본 연구는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모래지반에서 토양 물리성 및 화학성을 비교해서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일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토성, 토양공극, 함수량, 토양산도 및 전기전도도 분석결과 지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캘리포니아 지반 및 기존토 지반의 토성은 각각 사토(sand) 및 양질사토(loamy sand)로 나타났다. 토양 공극율은 캘리포니아 지반은 45.0%, 기존토 지반은 52.0% 로 지반간 7.0%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ed & turfgrass science Vol. 10; no. 4; pp. 427 - 436
Main Author 김경남(Kyoung Na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01.12.2021
한국잔디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1.10.4.4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모래지반에서 토양 물리성 및 화학성을 비교해서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일반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지반에서 토성, 토양공극, 함수량, 토양산도 및 전기전도도 분석결과 지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캘리포니아 지반 및 기존토 지반의 토성은 각각 사토(sand) 및 양질사토(loamy sand)로 나타났다. 토양 공극율은 캘리포니아 지반은 45.0%, 기존토 지반은 52.0% 로 지반간 7.0%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들 지반의 함수량은 각각 12.0% 및 24.0%로 나타났다. 기존토 지반의 보수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모래에 비해 일반 토양의 점토 비율이 약 130배 정도 높아 미세공극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산도는 5.90-6.00 사이로 지반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기전도도는 기존토 지반 32.20 μS cm-1, 캘리포니아 지반 50.35 μS cm-1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캘리포니아 지반이 56.3% 정도더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고려 시 양질의 잔디밭에는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보다 캘리포니아 모래 지반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반 토양의 기존토 지반은 점토 함유율이 약 130배 정도 높아 보습력은 우수하지만, 투수성능이 상당히 낮으므로 잔디밭 시공 및 관리 시 모래 혼합을 통해서 식재층의 대공극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험을 통해 밝혀진 기존토 지반 및 캘리포니아 지반의 토양 물리・화학성 관련 기본 데이터는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 시 실무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under anysoil and sand-based soil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ur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oil acidity, electric conductivity, soil texture, soil poros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analyz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se parameters. From analysis on soil texture, California system was classified as sand, while anysoil system as loamy sand. Soil porosity for California and anysoil systems was 45.0% and 52.0%, respectively, being 7.0% in differences.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12.0 to 24.0%, being twice greater under anysoil system for water retention capacity than under California soil system due to higher micropore percentage. Soil acidity ranged between 5.90 and 6.00, be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il systems. Electrical conductivity in anysoil and California systems, however, was 32.20 and 50.35 μS cm-1, respectively, being 56.3% higher in California system than in anysoil system. Considering both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 sand-based California system was better for turfgrass quality than anysoil system of loamy soil. Clay content was approximately 130 times greater under anysoil system than under California system. This led to higher soil moisture content, but lower drainage capacity, as compared with a sand-based California system. Accordingly, it should be improved by mixing sand to increase macropore content in rootzone layer when turf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in loamy soil of anysoil system. From this study information on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under both soil systems would be practically useful in turf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KCI Citation Count: 0
ISSN:2287-7924
2288-3312
DOI:10.5660/WTS.2021.10.4.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