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화산’의 상온유통 기간을 전제로 한 원예적 성숙기 설정
‘화산’의 생리적 성숙기는 만개 후 160일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 과실은 상온보구력이10일 정도로 짧아 유통 중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산’의 원예적 성숙기와 상온보구력을 전제한 수확시기를 구명코자 하였다. 만개 후 1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과실 특성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고, 각 수확시기별 상온보구력을 평가한 결과, 만개 후 140일에 전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만개 후 150일 이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3.0°Bx이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으며 주 당원인 sucrose 함량은 만개 후 155일에...
Saved in:
Published in | Weon'ye gwahag gi'sulji Vol. 25; no. 4; pp. 360 - 36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원예학회HST
01.12.2007
한국원예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763 2465-8588 |
Cover
Summary: | ‘화산’의 생리적 성숙기는 만개 후 160일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시기 과실은 상온보구력이10일 정도로 짧아 유통 중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산’의 원예적 성숙기와 상온보구력을 전제한 수확시기를 구명코자 하였다. 만개 후 135일부터 5일 간격으로 과실 특성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고, 각 수확시기별 상온보구력을 평가한 결과, 만개 후 140일에 전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만개 후 150일 이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3.0°Bx이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으며 주 당원인 sucrose 함량은 만개 후 155일에 5%로 가장 높았다. 경도, 당도, 전분함량 변화 등을 기준으로 할 때 화산품종의 원예적 성숙기는 만개 후 150일 전후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때 수확한 과실은 상온경과 30일에도 12N의 경도를 유지하며 가식 가능한 상태를 보였으며, 만개 후 165일 수확한 과실은 상온경과 10일 후 12N 이하로 경도가 낮아지고 상온 10일이 경과한 것은 신선감이 떨어지고 때로는 이취가 났다. 경도, 식미테스트, 당 함량의 변화 등을 기준으로 상온보구력을 평가한 결과, 만개 후 150일, 155160일, 165일 수확한 과실의 상온 보구력은 각각 30일, 20일, 10일로 평가되었다. ‘Hwasan’ (Pyrus pyrifolia Nakai) is harvested in 160 days after full bloom (DAFB). But the fruit which is harvested at this point has a problem in the marketing for short shelf life, about 10 days. So, this study was aimed for determining the optimum matured time and harvest time on the premise of shelf life of ‘Hwasan’. The change of fruit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from 135 to 160 DAFB in each 5 days terms and the shelf life of each fruits was examined. I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starch concentration rapidly decreased in 140 DAFB, the change of soluble solids concentration of fruit harvested after 150 DAFB is gentle 13.0oBx or above and sucrose concentration reached the highest peak 5% at 155 DAFB. The horticultural harvest time is about 150 DAFB in terms of changes of hardness, soluble solid concentration and starch concentration. The fruit harvested in 150 DAFB is sustained 12 N during 30 days at ambient temperature and it is edible. Also the hardness of fruit harvested in 165 DAFB decreased less than 12 N and the freshness of fruit is a little bit low and sometimes the smell is strange after 10 days at ambient temperature. The shelf life of fruit harvested in 150, 155-160 and 160 DAFB are about 30, 20 and 10 days respectively in terms of changes of water loss, soluble solids concentration, hardness and sensory evaluation. KCI Citation Count: 11 |
---|---|
Bibliography: | G704-000900.2007.25.4.021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