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면전환 GARCH 모형을 이용한 변동성 구조 분석 및 예측에 관한 실증 연구

파생상품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변동성의 쓰임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그 만큼 향후 변동성에 대한 예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실무에서 변동성 예측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방법 중에 단순평균법이 있으나 단순평균법은 변동성 구조에서 잘 알려진 평균회귀 현상이나 이분산성을 고려 하고 있지 않다. GARCH 모형은 위 현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분산 과정의 구조적 변화(structural change in variance process)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위 현상들을 반영할 수 있는 국면전환 GARC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증권학회지 Vol. 40; no. 1; pp. 171 - 194
Main Authors 황성원(Sung Won Hwang), 류혁선(Hyeuk Sun Ry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증권학회 01.0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8187
2713-55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파생상품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변동성의 쓰임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그 만큼 향후 변동성에 대한 예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실무에서 변동성 예측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방법 중에 단순평균법이 있으나 단순평균법은 변동성 구조에서 잘 알려진 평균회귀 현상이나 이분산성을 고려 하고 있지 않다. GARCH 모형은 위 현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분산 과정의 구조적 변화(structural change in variance process)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위 현상들을 반영할 수 있는 국면전환 GARCH(Regime Switching GARCH; RS-GARCH) 모형을 소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주가지수 변동성의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단순평균법 및 GARCH 모형의 예측성과와 비교하여 RS-GARCH 모형의 변동성 예측성과를 밝히고, 단기 변동성 예측모형으로서의 유용함을 밝힌다. With the growth of financial derivatives market, forecasting future volatility becomes an increasingly important tool for evaluating derivatives. Simple Moving Average (SMA) method has been popularized in business practice as a convenient method for forecasting volatility. However, it fails to take into account the mean-reversion and heteroskedasticity of volatility structure. GARCH models can explain those phenomena, but they are insufficient for explaining structural changes in variance process. This paper introduces Regime Switching GARCH (RS-GARCH) that can explain the above phenomena and thereby investigates Korean Stock Market volatility structure model. The paper also compares SMA, GARCH, and RS-GARCH model for their respective performance in forecasting volatility, and explains why the RS-GARCH model is more effective than the two alternative models in forecasting short-term volatility. KCI Citation Count: 9
Bibliography:G704-SER000000670.2011.40.1.007
ISSN:2005-8187
2713-5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