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장근을 포함한 유리 동맥화 정맥 피판을 이용한 수부 배측 연부 조직 및 신전건 결손의 동시 재건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장 장근을 포함한 동맥화 정맥 피판을 이용하여 신전건과 연부 조직 결손이 동반된 복합 수부 결손의 재건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복합 수부 결손에 대해 다양한 동맥화 정맥 피판으로 치료한 39명의 환자중에서 건-피부 형태의 동시 재건술을 시행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2세(19-49세)였으며 피판의 크기는 1.5×2 cm에서 4×7 cm이었다. 2예에서 수지 신경의 동시 재건을 위하여 피판에 표재성...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39; no. 3; pp. 278 - 284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장 장근을 포함한 동맥화 정맥 피판을 이용하여 신전건과 연부 조직 결손이 동반된 복합 수부 결손의 재건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복합 수부 결손에 대해 다양한 동맥화 정맥 피판으로 치료한 39명의 환자중에서 건-피부 형태의 동시 재건술을 시행한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2세(19-49세)였으며 피판의 크기는 1.5×2 cm에서 4×7 cm이었다. 2예에서 수지 신경의 동시 재건을 위하여 피판에 표재성 감각 신경을 포함한 신경이식술을 동반 시행하였다.
결 과: 전 예에서 피판은 피부와 신전건 결손을 성공적으로 피복하였으며 1예에서 10% 미만의 부분적인 변연부 괴사가 발생하였으나 추가 수술없이 회복되었다. 이식된 신전건을 통해 수상 부위의 기능적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하였으며 그 범위는 근위 지간 관절이 70°, 원위 지간 관절이 25°이었다.
결 론: 장 장근을 포함한 유리 동맥화 정맥 피판술은 신전건 결손을 포함한 수부 복합 결손의 재건에서 고려할 수 있는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our new modified surgical method using a tendocutaneous flap, which is an arterialized venous free flap with palmaris longus tendon, to reconstruct composite
defects of the dorsal skin and extensor tendons of the hand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4 and December 2001, composite defects of the hands in 39 patients were reconstructed using various modifications of arterialized venous free flap. Among
these patients, eight cases of tendocutaneous typ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ranging from 19 to 49), and the flap sizes ranged from 1.5×2 cm to 4×7 cm. In 2 of the 8 cases, neurorrhaphy using forearm cutaneous nerve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of digital nerve reconstruction.
Results: All flaps survived successfully and covered exposed bone and tendon. Marginal necrosis occurred partially in one case by less than 10% and this was completely recovered without any further
surgical treatment. A functional range of motion (ROM) at the involved joint was achieved in an average ROM of 70 degrees at the PIP joint and 25 degrees at the DIP joint.
Conclusion: Tendocutaneous arterialized venous free flap with palmaris longus tendon, is was found to be especially useful surgical foro reconstruct in a composite defects of the dorsal skin and extensor
tendon of the han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04.39.3.010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