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관 감압술 후 초음파상 정중신경 단면적의 변화와 예후와의 상관관계

목적: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수술 전, 후의 정중신경 단면적을 수근관 내의 여러 위치에서 측정하여 수술 후회복 정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감압술을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로 월상골, 두상골, 유구골 선상의 세 위치에서 정중신경의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Boston 설문지 검사를 수술전 및 후에 시행하여 호전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 위치에서 정중신경 단면적의 수술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8; no. 4; pp. 290 - 296
Main Authors 이승주(Seung-Joo Lee), 김지섭(Ji-Sup Kim), 최윤락(Yun-Rak Choi), 김성준(Sung-Jun Kim), 강호정(Ho-Jung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수술 전, 후의 정중신경 단면적을 수근관 내의 여러 위치에서 측정하여 수술 후회복 정도와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받고 감압술을 시행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로 월상골, 두상골, 유구골 선상의 세 위치에서 정중신경의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Boston 설문지 검사를 수술전 및 후에 시행하여 호전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 위치에서 정중신경 단면적의 수술 전,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수술 전, 후 정중신경 단면적의 차이는 월상골 위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두상골 및 유구골 위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서 정중신경 단면적의 측정은 월상골 위치에서 시행하는 것이 수술의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edian nerve using ultrasound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before and after endoscopic intervention, and to verify the level at which it can be used in prediction of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in 21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from March 2011 to March 2012. Median nerve cross-sectional area was measured before the operation and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at the level of lunate, pisiform and hamate. The Boston questionnaire was evaluated before the operation and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then allocated as two groups (group I: symptom improvement of more than 25%, group II: symptom improvement less than 25%). Then, differences of cross-sectional area between preoperative measurement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 on three level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Nineteen patients were females and two were males ranging in age between 35-79 years (mean, 55.4 yea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lunate level. However, at the level of pisiform and hamat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Measurement of median nerve cross-sectional area at the lunate leve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utcome of carpal tunnel release.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908.2013.48.4.003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