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면 방사선 촬영 자세의 표준화를 위한 정상 척추의 시상면 정렬의 분석

목 적: 양팔의 자세 변화에 따르는 척추의 시상면 정렬의 차이를 분석하고, 환자에게서 가장 기능적인 시상면 정렬을 재현할 수 있는 측면 기립 방사선 촬영 자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남자 30명에 대해 제7 경추와 제1 천추의 피부 표면에 표식자를 부착시킨 후 전 척추 측면 기립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다. 팔을 내리고 서있는 자세(자세 A), 견관절을 각각 30°, 90° 굴곡한 자세(자세 B, C), 양팔을 끌어안은 자세(cross-arm position) (자세 D), 견관절을 90° 굴곡시킨 후 팔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0; no. 7; pp. 861 - 867
Main Authors 김민석(Min-Seok Kim), 정석원(Seok-Won Chung), 황창주(Changju Hwang), 이춘기(Choon-Ki Lee), 장봉순(Bong-Soon Ch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양팔의 자세 변화에 따르는 척추의 시상면 정렬의 차이를 분석하고, 환자에게서 가장 기능적인 시상면 정렬을 재현할 수 있는 측면 기립 방사선 촬영 자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남자 30명에 대해 제7 경추와 제1 천추의 피부 표면에 표식자를 부착시킨 후 전 척추 측면 기립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였다. 팔을 내리고 서있는 자세(자세 A), 견관절을 각각 30°, 90° 굴곡한 자세(자세 B, C), 양팔을 끌어안은 자세(cross-arm position) (자세 D), 견관절을 90° 굴곡시킨 후 팔을 수평봉에 얹은 자세(자세 E)를 취하게 하여, 자세변화에 따른 시상 수직축(sagittal vertical axis), 흉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 천추 전경각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 과: 자세 A에서 E의 평균 시상 수직축은 각각 +1.47±2.06 cm, -0.58±2.96 cm, -2.11±2.67 cm, +0.16±2.38 cm, -0.51±2.70 cm으로 일차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한 결과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 Duncan의 사후검증결과 자세 A와 D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자세 D가 자세 A에 대해 가장 유사한 자세로 나타났다. 흉추 후 만각, 요추 전만각, 천추 전경각은 자세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양팔을 끌어안은 자세(cross-arm position)는 평상시 서있는 자세와 가장 유사한 기능적인 시상면 정렬을 구현할 수 있는 자세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agittal balance based on different positions of both arms and to promote the proper lateral spine view which can reconstruct the most functional posture of sagittal balance. Materials and Methods: We applied X-rays to thirty healthy male adults with no spinal diseases after application of marks on the skin surface at the location of the C7 and S1 vertebrae with the following five postures, standing lateral position with both arms neutral (posture A) with both shoulders flexed thirty degrees and ninety degrees (postures B and C) with both arms crossed (posture D) with both shoulders flexed ninety degrees and with both arms on a parallel bar (posture E).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sagittal vertical axis, thoracic kyphotic angle, lumbar lordotic angle, and sacral inclination angle after the postural changes. Results: The average sagittal vertical axis value from posture A to E was 1.47±2.06 cm, -0.58±2.96 cm, -2.11±2.67 cm, 0.16±2.38 cm, and -0.51±2.70 cm. We discovered that five postur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one-way ANOVA, p<0.001) and that posture D was the closest to posture 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However we did not observ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thoracic kyphotic angle, the lumbar lordotic angle, and sacral inclination angle postures. Conclusion: We can reconstruct the functional sagittal alignment in the cross-arm position, which is the closest to the normal standing position. KCI Citation Count: 15
Bibliography:G704-000908.2005.40.7.01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