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문화예술지원과 경영성과 및 가치와의 상관관계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기부금 지출을 통한 문화예술지원이 기업의 재무 성과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KOSPI상장기업 총 2523개, 문화예술진흥기금지출 기업 중 KOSPI상장기업 총 242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 분석, 상관분석,T-Test, 회귀 분석 등을 사용한다. 재무성과 측정방법은 각 기업의 총자산순이익률(ROA), 영업이익률(OPM), Tobin-Q를 계산하여 분석하며, 기업의 규모, 나이, 부채, 형태 등을 통제변수로 처리한 후 기업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27; no. 8; pp. 1307 - 1327
Main Authors 조수희(Su-Hee Cho), 김세준(Sae-Jun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8.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의 목적은 기부금 지출을 통한 문화예술지원이 기업의 재무 성과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KOSPI상장기업 총 2523개, 문화예술진흥기금지출 기업 중 KOSPI상장기업 총 242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 분석, 상관분석,T-Test, 회귀 분석 등을 사용한다. 재무성과 측정방법은 각 기업의 총자산순이익률(ROA), 영업이익률(OPM), Tobin-Q를 계산하여 분석하며, 기업의 규모, 나이, 부채, 형태 등을 통제변수로 처리한 후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부금 지출과 재무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11년도 Tobin's Q와만 유의했던 것을 제외하고, ROA, OPM Tobin's Q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의 연속성을 기준으로 문화예술지원 정도에 따라 재무 성과와 기업가치를 분석해 본 결과 6년 연속인 그룹과 2년이하로 기부금을 지출한 기업의 ROA, OPM이 현격한 차이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문화예술진흥기금에 한번이상 기부금을 지출한 기업과 지출이 없는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ROA, OPM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지원중에서 가장 일반화하기 적당한 측정도구인 기부금 지출과 기업성과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지지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가장 큰 이론적 시사점은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활동의 효과를 실제 시장을 기반으로 한 실증조사를 통해 객관적인 분석방법을 통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how art sponsorship effects on financial outcome and valueof the firms. This study analyzed 2523 KOSPI firms and 242 KOSPI firms of listed companieswhich sponsored promotion fund for culture and art of Arts Council Korea. The result providedseveral substantive finding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Giv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ROA, OPM and Tobin's Q every year. However only Tobin's Qwas significant in 2011. Additional T-test result based on the community of giving, suggested that Group A(continuousgiving in 6 year) and Group B(Giving less than 2 yea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ROA and OPM. Giving is the most reasonable measurement to standardize social services, so ourresearch backing up advance researches. KCI Citation Count: 8
Bibliography:G704-000789.2014.27.8.002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