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막성 골육종의 무병 생존 13년 후 다른 부위에 발생한 전형적 골육종

골막성 골육종은 골육종의 약 1-2%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써, 국소 재발이나 전이는 3년 이내에 대부분 발생하고, 전이는 대부분 폐에서 일어나며 골전이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근위 경골 골막성 골종양 성공적인 치료 후 13년 만에 상완골 근위부에 전형적인 골육종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iosteal osteosarcoma is a rare variant of osteosarcoma and has represented 1-2% of all osteosarcomas. Mo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6; no. 2; pp. 158 - 161
Main Authors 공창배(Chang-Bae Kong), 홍윤석(Yunsuk Hong), 고재수(Jae-Soo Koh), 전대근(Dae-Geun J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골막성 골육종은 골육종의 약 1-2%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으로써, 국소 재발이나 전이는 3년 이내에 대부분 발생하고, 전이는 대부분 폐에서 일어나며 골전이는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근위 경골 골막성 골종양 성공적인 치료 후 13년 만에 상완골 근위부에 전형적인 골육종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iosteal osteosarcoma is a rare variant of osteosarcoma and has represented 1-2% of all osteosarcomas. Most local recurrences or progression to metastatic disease occurred within the first 3 years after presentation and lung metastasis is more common than bony metastasis. We describe a periosteal osteosarcoma of tibia patient who developed conventional osteosarcoma of proximal humerus after 13 years from the completion of treatmen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1.46.2.00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