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군집특성과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본 조사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군집 특성 파악을위해 실시하였다. 월동기 동안 맹금류를 포함하여 금강하구에서 관찰된 수조류는 52종, 최대개체수는 503,564개체이었다. 유사한 생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분류군별로 나누어 보면 12개 분류군이관찰되었다. 그 중 수면성오리류의 이용률이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가창오리(Anas formosa),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쇠기러기(Anser albiforns), 고방오리...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17; no. 1; pp. 1 - 1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01.03.2010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Cover
Summary: | 본 조사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군집 특성 파악을위해 실시하였다. 월동기 동안 맹금류를 포함하여 금강하구에서 관찰된 수조류는 52종, 최대개체수는 503,564개체이었다. 유사한 생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분류군별로 나누어 보면 12개 분류군이관찰되었다. 그 중 수면성오리류의 이용률이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가창오리(Anas formosa),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쇠기러기(Anser albiforns), 고방오리(Anas acuta)이었다. 고방오리는 조사 시기에 따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간 개체군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둥오리와 고방오리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흰뺨검둥오리와 붉은부리갈매기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조류는 금강하구둑 상류 지역에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내었다. This stdu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intering waterbirds in Geumgang river form 2008 to 2009. 52 species and 503,564 individuals by sum of peak counts were recorded. We classified the wintering waterbirds into 12 groups of taxa based on the similar ecological attributes. In these classified groups, Dabbling ducks were observed that mostly used habitat in Geumgang river. The dominant species were Baikal Teal Anas formosa,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Pintail Anas acuta. Pintail Anas acuta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urvey period. Number of individual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between Mallard Anas platyrhynchos - Pintail Anas acuta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between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 Black-headed Gull Larus ridibundus. Waterbirds were observed to mostly use upstream in Geumgang river. KCI Citation Count: 9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068.2010.17.1.004 |
ISSN: | 1225-9179 2586-68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