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실습 전 간호대학생을 위한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을 위한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갈등해결능력의 향상과 갈등해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프로그램의 확산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역을 달리 선정하여 3지역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중인 임상실습 전의 간호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조사 이후 실험군(60명)은8주 간의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대조군(54명)은 의사소통 수업을 받은 후 사후 조사를...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19; no. 4; pp. 351 - 36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12.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을 위한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갈등해결능력의 향상과 갈등해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프로그램의 확산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역을 달리 선정하여 3지역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중인 임상실습 전의 간호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조사 이후 실험군(60명)은8주 간의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을, 대조군(54명)은 의사소통 수업을 받은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통해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임상 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갈등해결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t=2.16, p=.035).
둘째, 임상 실습 전 간호대학생을 위한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갈등해결능력의 하부 요인 중 의사결정능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t=2.68, p=.009). 나머지 갈등해결능력의 하부 요인 중 자기이해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 정도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갈등해결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대조군에 비해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갈등해결 유형 중 협력 유형을 증가시키고 공격유형과 회피 유형을 감소시켰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ith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from March to May, 2011. The participants were 114 second-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60 in the experimental and 54 in the control group) from 3 nursing colleges in Korea. For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interventions weekly. Frequencies, χ2-test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19.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2.16, p=.035) in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of cooperative conflict resolution style were increased and avoidant and aggressive conflict resolution style we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nflict resolution styles in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and styles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for nursing student before clinical practice. (Korean J Str Res 2011;19:351∼360)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1.19.4.012 |
ISSN: | 1225-665X 2234-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