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장해 저항성 배 대목으로 선발된 ‘배연 1호’의 포장 성능 검정

배 과실에서 발생하는 생리장해에 저항성인 대목을 선발하고 포장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생리장해 발생이 많은 ‘장십랑’과 ‘화산’을 ‘배연1호’, ‘청계’, ‘백계’ 그리고 ‘청당로리’와 ‘만삼길’ 실생 대목에 접목하여 배 대목 종류별 수체 생장, 무기영양분 흡수정도, 과실품질, 및 유부과, 과실경화장해, 열과 등의 생리장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수체 생장량은 대목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리장해 발생에 있어서 ‘화산’의 유부과는 ‘배연 1호’ 대목에서 26.7%, ‘장십랑’의 과실경화장해도 ‘배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26; no. 3; pp. 296 - 301
Main Authors 강삼석(Sam-Seok Kang), 조광식(Kwang-Sik Cho), 손동수(Dong-Su Son), 송장훈(Jang-Hoon Song), 김윤경(Yoon-Kyeong Kim), 정상복(Sang-Bouk Jeong), 김정배(Jeong-Bae Kim), 김명수(Myung-Su Kim), 이상현(Sang-Hy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09.2008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 과실에서 발생하는 생리장해에 저항성인 대목을 선발하고 포장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생리장해 발생이 많은 ‘장십랑’과 ‘화산’을 ‘배연1호’, ‘청계’, ‘백계’ 그리고 ‘청당로리’와 ‘만삼길’ 실생 대목에 접목하여 배 대목 종류별 수체 생장, 무기영양분 흡수정도, 과실품질, 및 유부과, 과실경화장해, 열과 등의 생리장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수체 생장량은 대목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리장해 발생에 있어서 ‘화산’의 유부과는 ‘배연 1호’ 대목에서 26.7%, ‘장십랑’의 과실경화장해도 ‘배연 1호’ 대목에서 14.3%로 다른 대목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두 접수 품종 모두 인산, 칼슘, 마그네슘은 다른 대목보다 ‘배연 1호’ 대목에서 높았지만 칼륨 함량은 낮았다. 따라서 Ca/K, Ca/Mg, Mg/K 값들은 ‘배연 1호’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연 1호’는 ‘화산’의 유부과와 열과, ‘장십랑’의 과실경화를 경감시켰으므로 배에서 생리장해 저항성 대목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 resistant rootstock against some physiological disorders and confirm the field performance test of selected pear (Pyrus pyrifolia) rootstock. ‘Chojuro’ and ‘Whasan’ which had shown higher physiological disorder occurrence such as yuzu skin, stony flesh, and cracking were grafted onto ‘Baeyeoen No.1’, ‘Cheongkye’, ‘Baegkye’, and two seedlings of ‘Cheongdangrori’ and ‘Okusankichi’. Tree growth, inorganic nutrient absorption, fruit quality, and some physiological disorde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pear rootstocks. Tree growth of scion cultivars affected by rootstock cultivar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both ‘Chojuro’ and ‘Whasan’ pear after grafting. When ‘Baeyoen No.1’ was used as a rootstock, yuzu skin in ‘Hwasan’ and stony flesh in ‘Chojoro’ occurred 26.7% and 14.3%,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rootstocks, phosphate (P), calcium (Ca), and magnesium (Mg) were higher in in both scion cultivars grafted onto ‘Baeyoen No. 1’ than others those grafted onto other rootstock cultivars excepting potassium. As a result, Ca/K, Ca/Mg, and Mg/K values were also higher in the scion cultivars grafted onto ‘Baeyoen No. 1’. Consequently, ‘Baeyoen No.1’ rootstock reduced the physiological disorder such as yuzu skin and cracking in ‘Hwasan’ and yuzu skin and stony flesh in ‘Chojoro’. Therefore, we recommend ‘Baeyoen No.1’ as a rootstock against some physiological disorders.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900.2008.26.3.019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