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논문에 있어 대상자별 원예치료 프로그램 내의 원예활동 조사연구

다양한 상황 및 대상에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원예활동을 위한 새로운 원예용품 및 작물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원예치료와 관련한 69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I형), 실외 정원에서 식물 기르기(II형), 아트와 크래프트(III형)이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게 활용되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그룹 활동(IV형), 소풍(V형), 요리(VI형), 식물과 관련한 공부(VII형)로 분류되는 원예활동은 그 종류가 한정적으로 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Vol. 24; no. 1; pp. 110 - 116
Main Authors 소인섭(In-Sup So), 이영현(Young-Hyun Lee), 허무룡(Moo-Ryong Huh), 최영애(Young-Ae Choi), 허북구(Buk-Gu Heo), 장유진(Eu-Jean Jang), 오대민(Dae-Min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HST 01.03.2006
한국원예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다양한 상황 및 대상에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원예활동을 위한 새로운 원예용품 및 작물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원예치료와 관련한 69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I형), 실외 정원에서 식물 기르기(II형), 아트와 크래프트(III형)이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게 활용되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그룹 활동(IV형), 소풍(V형), 요리(VI형), 식물과 관련한 공부(VII형)로 분류되는 원예활동은 그 종류가 한정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치료사의 의도에 따른 활동 선정과 원예와 관련된 활용 가능한 각종 인프라의 여건이 상당부분 작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활용 가능한 원예 관련 시설, 대상자 특성이 고려된 원예 활동 용구 및 식물과 원예활동을 바탕으로 통합된 커리큘럼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원예활동을 분석한다면 보다 발전된 학문과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ixty nine research papers related with horticultural therapy were studied to develop a therapy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articipants under various circumstances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ew hort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aper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pplied to therapy programs were found out to be plant culture indoor (type I), plant culture in outdoor garden (type II) and art and craft (type III). However, variations activities related with group activity (type IV), picnic (type V), cooking (type VI) and botanical study (type VII) were limited. These findings would be explained by the choice of therapists tak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rticipants available horticultural infrastructure into account. KCI Citation Count: 17
Bibliography:G704-000900.2006.24.1.012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