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대 산림 장현광의 정치적 활동과 위상
본고는 인조대에 산림으로 징소된 장현광의 정치적 활동을 살핌으로써 당시 중앙정계와 영남지역 내에서의 그의 위상을 가늠하고 설정하고자 하였다. 인조대의 정국은 서인이 주도하는 가운데 약간의 남인이 참여한 상태로 전개되었다. 중앙정계로부터 주목을 받은 영남 남인 출신의 산림은 장현광이었다. 그는 서인 산림인 김장생·박지계와 함께 특별한 예우를 받으면서 중앙정계에 나아갔다. 장현광의 출사는 반정으로 인해 어수선한 인심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장현광은 몇 차례 상소를 통해 자신이 가진 지식을 종횡으로 구사하면서 총론적이고도 원...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학논집 Vol. 52; pp. 27 - 58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09.2013
한국학연구원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8902 2671-7492 |
| DOI | 10.18399/actako.2013..52.002 |
Cover
| Summary: | 본고는 인조대에 산림으로 징소된 장현광의 정치적 활동을 살핌으로써 당시 중앙정계와 영남지역 내에서의 그의 위상을 가늠하고 설정하고자 하였다. 인조대의 정국은 서인이 주도하는 가운데 약간의 남인이 참여한 상태로 전개되었다. 중앙정계로부터 주목을 받은 영남 남인 출신의 산림은 장현광이었다. 그는 서인 산림인 김장생·박지계와 함께 특별한 예우를 받으면서 중앙정계에 나아갔다. 장현광의 출사는 반정으로 인해 어수선한 인심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장현광은 몇 차례 상소를 통해 자신이 가진 지식을 종횡으로 구사하면서 총론적이고도 원론적인 치국의 방안을 개진하기도 하였다. 군주를 세도의 주인으로 간주하는 군주 중심의 정치 인식 위에 군주가 표준을 세우는 도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에 대한 조정의 기대는 정묘호란이라는 국가의 위기상황 때 잘 드러났다. 조정에서는 삼남지역에 호소사를 배치하여 난국을 극복하려 하였는데, 장현광은 정경세와 함께 영남의 호소사에 임명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계운궁 복제와 원종 추숭 등 왕실의 전례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일어났을 때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정치적 활동상과 높은 위상을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한계도 분명하였다. 산림 중에서는 김장생, 영남지역의 인사로는 정경세가 늘 장현광과 비교가 될 수 있는 존재였다. 존재감에 있어서 집권세력인 서인 산림 김장생에 비해 약하였다. 그리고 영남을 대표하는 존재이기는 하지만 오로지 하지는 못한 정도의 위치에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높은 위상과 현실적 한계를 동시에 잘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남인 산림 장현광이 처한 지점이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Jang Hyeon-gwang, a Sallim scholar,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nd to estimate and set his status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and Yeongnam region at the time. The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were led by the Western Party with the participation of some members of the Southern Party. Jang Hyeon-gwang was a Sallim scholar from the Yeongnam Southern Party,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central political world. He entered the central political world, receiving special honorable treatments along with some Sallim scholars from the Western Party including Kim Jang-saeng and Park Ji-gye. His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played a huge role in stabilizing the unsettled public mind due to the restoration of King Injo.
He stated his ideas of ruling the nation in general and principal terms by presenting a memorial to the king several times. H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duty of a monarch setting standards based on the monarch-centric political perception to regard him as the master of public morals. The royal court's expectations for him were demonstrated in the nation's crisis situation during Jeongmyo Horan(丁卯胡亂). The royal court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by deploying a Hososa(號召使) to the Gyeongsang, Jeolla, and Chungcheong region. Jang was appointed to the position in Yeongnam and performed his duties along with Jeong Gyeong-se. He also performed certain roles in a series of controversy over ritual issues in the royal family, which is evidence of his political activities and high status.
However, he did have clear limitations. Kim Jang-saeng of the Sallims and Jeong Gyeong-se of Yeongnam's figures were always comparable to him. Jang had a weaker sense of presence than Kim Jang-saeng, a Sallim of the ruling Western Party. Even though he represented Yeongnam, he wasn't the only top. In a word, he well demonstrated high status and realistic limitations, which was the place where Jang Hyeon-gwang, a Sallim of the Southern Party, was located.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G704-001843.2013..52.005 http://web.kmu.ac.kr/actakoreana/ |
| ISSN: | 1738-8902 2671-7492 |
| DOI: | 10.18399/actako.2013..5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