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에 대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

목 적: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에 대하여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평균나이는 43세이었다. 골반환의 손상은 AO-OTA 골절 분류상 B2형 5예, C1 형 11예, C2 형 3예이었으며, 신경손상이 4예에서 동반하였다. 수술의 방법은 환자는 전방 골반 환 손상을 금속판으로 고정한 후, 후방 환 손상은 투시경 감시하에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고정을 시행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2; no. 4; pp. 483 - 489
Main Authors 오창욱(Chang-Wug Oh), 김풍택(Poong-Taek Kim), 박병철(Byung-Chul Park), 민우기(Woo-Kie Min), 이성만(Sung-Man Lee), 인주철(Joo-Chul Ihn), 이상원(Sang-Won Lee), 오수훈(Soo-Hoon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8.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 적: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에 대하여 전방 금속판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평균나이는 43세이었다. 골반환의 손상은 AO-OTA 골절 분류상 B2형 5예, C1 형 11예, C2 형 3예이었으며, 신경손상이 4예에서 동반하였다. 수술의 방법은 환자는 전방 골반 환 손상을 금속판으로 고정한 후, 후방 환 손상은 투시경 감시하에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고정을 시행하였다.결 과: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골 유합을 얻었으며, 전방골반환의 치골의 불 유합이 1예 있었다. 방사선 평가에서 16예에서 양호이상의 정복을 얻었고, 그외 보통 2예, 불량 1예 각각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19명 중 16명의 환자가 양호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보통 2예와 불량 1예는 C형 골절에서 부적절한 정복을 얻은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최초 손상 시 동반된 신경증상이 남아있는 환자이었다. 합병증은 경피적 나사못의 신경관 침범이 1예 있었으나 제거 후 신경증상은 없었으며, 그외 장-천골 나사못의 이완이 2예, 전방 금속판의 파손 2예, 심부 감염이 1예 있었다.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908.2007.42.4.019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