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존재하는 구강 스캐너에 대한 고찰

구강 내의 모습을 재현하는 복제모델을 만드는 것은 치과 진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며 정확성과 효율성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현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치과 진료에서도 디지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바로 구강 내의 모습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 디지털화이다. CAD/CAM 시스템의 3가지 성분 ① data capture component (digitizers), ② design component (CAD software), ③ manufacturing componen...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 31; no. 2; pp. 112 - 125
Main Authors 최종훈(Jong-Hoon Choi), 임영준(Young-Jun Lim), 이원진(Won-Jin Lee), 한중석(Jung-Suk Han), 이승표(Seung-Py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턱관절교합학회 01.06.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4353
2384-4272
DOI10.14368/jdras.2015.31.2.1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구강 내의 모습을 재현하는 복제모델을 만드는 것은 치과 진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며 정확성과 효율성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현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치과 진료에서도 디지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가 바로 구강 내의 모습을 3차원적으로 재구성하는 디지털화이다. CAD/CAM 시스템의 3가지 성분 ① data capture component (digitizers), ② design component (CAD software), ③ manufacturing component (CAM)중 가장 기본이 되며 뒤의 과정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data capture component 즉 구강 스캐너이다. 이 논문은 Pubmed와 Google Scholar에서 최근 5년 전 연구 논문들을 기초로 하여, 각각의 스캐너의 구동원리와 스캐너들 간의 정확성, 현재 구강 스캐너가 치과 영역에서 적용되고 있는 분야와 그 정도를 분석하였다. Making a model that is an accurate replica of the oral structure requires precision and efficiency. Nowadays, rapid technological advances bring digitalization in dentistry.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s in digital dentistry is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oral cavity and digitizing the 3D data.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CAD/CAM, data capture component (digitizers), ② design component (CAD software), ③ manufacturing component (CAM), the basic component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ther processes is the data capture component, i.e. intra-oral scanners. This literature review discusses the principles and clinical use of intra-oral scanners in dentistry based on recent publications of the past 5 years using the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1774.2015.31.2.004
ISSN:2384-4353
2384-4272
DOI:10.14368/jdras.2015.31.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