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에서 세 가지 고정술 간의 비교

목적: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에서 비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핀 고정술(I군), 이분굴곡날 금속판 및 강선 장력대 고정술(II군),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III군) 간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I군 16예, II군 19예, III군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시기 및 Paavolainen의 방법으로 상완골 경간각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Neer의 기능적 평가법을 사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6; no. 5; pp. 372 - 379
Main Authors 천상진(Sang Jin Cheon), 이지민(Ji Min Lee), 이정섭(Jung Sub Lee), 김휘택(Hui Taek Kim), 서정탁(Jeung Tak Su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에서 비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핀 고정술(I군), 이분굴곡날 금속판 및 강선 장력대 고정술(II군),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III군) 간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이, 삼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I군 16예, II군 19예, III군 1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시기 및 Paavolainen의 방법으로 상완골 경간각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Neer의 기능적 평가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군을 다시 65세 이상과 65세 미만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결과: 골유합률 및 골유합기간, 상완골 경간각, Neer의 평가법 상 임상적 결과에서 II, III군이 I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p<0.05). II군과 III군 사이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65세 이하의 환자보다 임상적 결과가 불량하였으며(p=0.02), 65세 이상 환자에서는 Neer의 평가법 상 III군(평균 87.5점)이 I군(평균 77.2점), II군(평균 79.3점)보다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나 각 군의 증례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의미를 가지지 못하였다. 합병증은 II, III군에서 발생률이 유의하게 적었다(p=0.005). 결론: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에서 II, III군이 I군에 비해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II군과 III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전위된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과 이분굴곡날 금속판 및 강선 장력대 고정술 모두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ree different surgical methods -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Group I),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Group II), locking compression plate (Group III), - for displaced two- and three-part proximal hume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19 with 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and 18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nd were reviewed and evaluated with respect to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bony union and humerus neck shaft angle using the Paavolainen metho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Neer's evaluation criteria. Results: Bony union rate, time period to achieve bony union, neck shaft angle and clinical results in Groups II and III were better than those in Group I (p<0.05). There were no signifi 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I and III. We observed trends for wors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compared with those in patients younger than 65 years. Clinical outcome for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in Group III (average 87.5 points) was better than that for the same age group in Groups I (average 77.2 points) and II (average 79.3 points), but the cohorts were too small to obtain statistical signifi cance. Complication rate in Groups II, III was lower than that in Group I (p=0.005). Conclusio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in Groups II and III were signifi cantly better than those in Group I, and there were no signifi 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I and III. We thought that bifurcated plate and tension band wiring and locking compression plate were useful surgical methods for displaced two- and three-part proximal humeral fractur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1.46.5.007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