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섬매자기 식생군락의 소실에 의한 한강하구 개리와 재두루미의 도래지역 변화 및 개체수 감소

2004년 10월에서 2007년 3월까지 한강하구 오두산전망대 남측 갯벌지역, 곡릉천, 대동리 등의지역의 조류와 그의 서식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갯벌 및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육지부의 갈대, 피 등이 서식면적이 확대되어 새섬매자기의 식생지역이 감소하였다. 이에따라 개리와 재두루미의 서식개체수의 급격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2005~2006년에 걸친급격한 갯벌지역 소실은 2006년말에 안정화 되었으나 개리와 재두루미는 2006~2007년 월동기에도 극소수가 도래하였다. 갯벌 및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의 소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류학회지 Vol. 17; no. 1; pp. 55 - 66
Main Authors 유승화(Seung-Hwa Yoo), 강태한(Tae-Han Kang), 김화정(Hwa-Jung Kim), 이기섭(Ki-Sup Lee), 이상명(Sang-Myeong Lee), 이한수(Han-Soo Lee), 김인규(In-Kyu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류학회 01.03.2010
한국조류학회II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179
2586-689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2004년 10월에서 2007년 3월까지 한강하구 오두산전망대 남측 갯벌지역, 곡릉천, 대동리 등의지역의 조류와 그의 서식지를 모니터링한 결과 갯벌 및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의 소실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육지부의 갈대, 피 등이 서식면적이 확대되어 새섬매자기의 식생지역이 감소하였다. 이에따라 개리와 재두루미의 서식개체수의 급격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2005~2006년에 걸친급격한 갯벌지역 소실은 2006년말에 안정화 되었으나 개리와 재두루미는 2006~2007년 월동기에도 극소수가 도래하였다. 갯벌 및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의 소실 이후 개리와 재두루미는 인근의 대동리 갯벌에 존재하는 새섬매자기 식생지역으로 서식지를 옮긴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하천주변 습지의 자연적인 천이 보다는 교량건설에 의한 수류변화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were surveyed about the avian fauna and their habitat in Natural Monument area in southern part of Odu-san Mountain Observatory and downstream of the Gok-Reung stream and Dae-Dong-ri in Paju city, Gyeong-Gi-Do from October 2004 to March 2007. We could saw not only the habitat loss of the White-naped Crane and Swan Geese by declining of Scirpus planiculmis vegetation, but also extension of the Phragmites australis and Echinochloa crus-galli. Amount of loss of mudflat area from 2005 to 2006 was decreased in late 2006, but White-naped Cranes and Swan Geese were drastically decreased in Natural Monument area. Main wintering area of White-naped Cranes and Swan Geese seems like changed another area (Daedongri). We would suggest that this change occurred by construction of the bridge in upper stream rather than natural succession.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SER000010068.2010.17.1.009
ISSN:1225-9179
2586-6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