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CEO 이슈리더십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CEO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본 연구의 목적은 CEO 리더십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CEO 역량(유능함)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CEO 리더십은 현장 중심적이고 과업 중심적인 이슈리더십을 검증대상 리더십으로 선정하였고 CEO의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K은행을 거래하는 220개의 국내 중소기업을 선정한 후 CEO와 종업원 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75개의 중소기업으로부터 설문지 회수 후 CEO용 또는 조직원용 설문지가 일부 누락된 기업, 불성실한 답변을...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Vol. 29; no. 2; pp. 195 - 212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2.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DOI | 10.18032/kaaba.2016.29.2.195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CEO 리더십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CEO 역량(유능함)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CEO 리더십은 현장 중심적이고 과업 중심적인 이슈리더십을 검증대상 리더십으로 선정하였고 CEO의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K은행을 거래하는 220개의 국내 중소기업을 선정한 후 CEO와 종업원 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75개의 중소기업으로부터 설문지 회수 후 CEO용 또는 조직원용 설문지가 일부 누락된 기업, 불성실한 답변을 한 기업을 제외한 후, 총 153개의 중소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단일 자료원에 따른 동일측정오류(common method bias)를 극복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와 조절변수, 종속변수에 대해 각기 다른 응답자가 응답하도록 설계하였다. 즉, 종속변수(주관적 재무성과)는 CEO가 응답하고, 독립변수(CEO 이슈리더십)와 조절변수(CEO 역량)는 조직원이 응답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CEO 이슈리더십이 기업의 주관적 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CEO의 이슈리더십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CEO 역량(유능함)에 의해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리더십이 기업의 주관적인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소기업 CEO가 현장에서 기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CEO 이슈리더십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직원들이 CEO의 유능함을 인지하면 CEO 이슈리더십과 기업성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더 강해짐을 최초로 검증하였다. 따라서 중소기업 CEO는 조직원들이 본인의 유능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교육과정 이수와 스스로의 자기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CEO leadership effects the corporate performance and to objective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EO competency. For the study, issue leadership was selected as the verification subject for its field-centric and result driven tendencies and SMEs as research subjects, as they are more easily influenced by CEO leadership.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220 SMEs, all customers of K bank, were selected and conducted surveys on the CEO and 3 employees for each of them. Total of 175 SMEs responded, and the responses were then screened for completeness and validity. As a result, 153 SMEs qualified as subjects for further analysis. The survey was structured to prevent common method bias meaning that overlap in addressing independent variable, moderating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within the survey was not allowed between participants. In short, dependent variable (subjective financial performance) were addressed by the CEO, independent variable (CEO issue leadership) and moderating variable (CEO competency) by participating employees.
In conclusion, the positive corelation between CEO issue lead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role of CEO competency as the moderating facto were verified for the first time (<Table 1>).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effect of the CEO leadership on subjective corporate performance was verified, and the fact that his/her issue leadership was required for SMEs to enhance its performance.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 issue lead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was strengthened upon employees recognizing the his/her competency. Keeping this in mind, SME CEOs should focus more on self-development such as completing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etc.
Last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 going forward were discussed as well. KCI Citation Count: 8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6.29.2.001 |
ISSN: | 1226-2234 2465-8839 |
DOI: | 10.18032/kaaba.2016.29.2.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