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 혼합복식의 승·패 및 랠리 상황별 경기분석
본 연구는 배드민턴 혼합복식에서 승패 팀이 승패 및 랠리(Rally) 상황에 따라 경기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기록시스템을 개발하고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All England 배드민턴 대회의 경기(n=8)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승패 및 랠리 상황에 따른 행동변인, 포메이션유형, 행위자, 피행위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룹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H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승리한 팀과 패배한 팀 간에 행동변인의...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12; no. 3; pp. 103 - 11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12.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0.12.3.00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배드민턴 혼합복식에서 승패 팀이 승패 및 랠리(Rally) 상황에 따라 경기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기록시스템을 개발하고 분석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All England 배드민턴 대회의 경기(n=8)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승패 및 랠리 상황에 따른 행동변인, 포메이션유형, 행위자, 피행위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룹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H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승리한 팀과 패배한 팀 간에 행동변인의 차이가 나타난 것은 랠리 상황(p<.05)이었으며, 승리한 팀과 패배한 팀 모두 승리: 패배, 승리: 랠리 상황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승리한 팀과 패배한 팀 사이에 포메이션유형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황 간 비교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승리한 팀과 패배한 팀 사이에 행위자와 피행위자의 성별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패배한 팀의 승리: 랠리 상황 간 행위자 성별비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승리한 팀의 경우에는 피행위자의 성별이 승리: 패배 상황 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나, 패배한 팀의 경우에는 승리: 패배, 승리: 랠리 상황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The main aim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velop the data-gathering system and to analyze the different performances on won, lost and rally situation in mixed double badminton. 8 matches in All england badminton championship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action, formations, actor and reactor variables. The Kruskal-Wallis H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data. As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ction on rally situation between winning and losing team(p<.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won: lost and won: rally comparison(p<.05).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on formations as well as comparisons between situations. Third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ctor & reactor between winning and losing teams, but i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n and lost situation for lost team(p<.05).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actor between won and lost situations for winning team(p<.05)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actor between won and lost, and between won and rally for losing team(p<.05). KCI Citation Count: 11 |
---|---|
Bibliography: | G704-001680.2010.12.3.003 |
ISSN: | 1229-4225 2671-9134 |
DOI: | 10.21797/ksme.2010.12.3.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