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능력평가의 적절성 검토: 멀티미디어형 태권도 지식검사 활용

이 연구는 멀티미디어형 태권도 지식검사를 활용하여 동급 태권도 유단자가 동등한 태권도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현행 태권도 능력평가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121명의 학생(대학생 태권도 선수 49명, 태권도학과 대학생 31, 고등학생 태권도 선수 41명)을 임의선정하였다. 임의선정의 기준은 태권도 수련기간이 7년 이상이면서 태권도 등급이 4단의 유단자로 정하였다. 측정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기반의 40개 태권도 지식검사 문항(기본동작, 겨루기, 품새, 시범에서 각 10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12; no. 1; pp. 19 - 31
Main Authors 최창환(Chang Hwan Choi), 이재봉(Jae Bong Lee), 박재현(Jae Hyeon Park), 김혜진(Hyeoi J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4.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0.12.1.0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멀티미디어형 태권도 지식검사를 활용하여 동급 태권도 유단자가 동등한 태권도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현행 태권도 능력평가의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121명의 학생(대학생 태권도 선수 49명, 태권도학과 대학생 31, 고등학생 태권도 선수 41명)을 임의선정하였다. 임의선정의 기준은 태권도 수련기간이 7년 이상이면서 태권도 등급이 4단의 유단자로 정하였다. 측정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기반의 40개 태권도 지식검사 문항(기본동작, 겨루기, 품새, 시범에서 각 10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태권도 및 측정평가 전문가 집단의 내용검토가 이루어졌다. IRT 1모수 다국면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태권도 지식검사 영역에서의 능력추정이 이루어졌으며 Facets 4.0(Linacre, 199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때 유의도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전체적으로 태권도학전공자가 logit .10으로 대학태권도선수 -.02와 고등태권도선수 -.08로 χ2 6.6으로 p=.03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동작을 포함하여 겨루기, 품새 그리고 시범의 영역에서 모두 태권도학전공자가 선수집단(대학생 및 고등학생)에 비해서 태권도 4단의 동급 평가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태권도지식수준을 나타내었다. 태권도관련 단순지식, 이해도, 응용력으로 구분된 검사유형에서 응용력은 태권도학전공자(logit=.11)와 고교선수(logit=-.19) 그리고 대학선수(logit=-.30)의 순으로 나타났다(χ2 6.9, p=.03). 그러나 태권도관련 단순지식과 이해도는 세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동급 유단자이더라도 태권도관련 지식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태권도 능력평가(승단심사)제도는 태권도 지식수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태권도 관련 표준화된 지식검사를 통한 능력평가는 태권도 유단자의 질 및 권위의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assessment on taekowndo abilities using the test items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For this study, 121 students (49 taekowndo players on university level, 31 students on studying taekowndo at univ., and 41 taekowndo players on high school level) were recruited by optional selecting method in Seoul and Kyung-Ky area, Korea. A selecting rules for this study considered by career of training duration and fourth Dan of taekowndo ability level. 40 items based on multimedia for taekowndo knowledge test were classified into four domains (basic motion, kyorugi, poomsae, and demonstration of taekowndo) by experts of taekowndo and measurement specialists. A difficulties of items and abilities of students were calculated using Rasch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IR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χ2 6.9, p=.03) among players on university level(logit=-.30), majoring students of taekowndo(logit=.11), and players on high school level(logit=-.19). In conclusion, we can consider testing of knowledges of taekowndo for assessing taekowndo abilities.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G704-001680.2010.12.1.005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0.1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