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후 치사성 부정맥 발생의 예측인자로서T-Wave Alternans의 유용성 평가

배경 및 목적:심근경색 환자에서 돌연사의 주요 원인인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은심근경색 치료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Micro-volt level T-wave alternans(mTWA)는 심박수에 따른 재분극의 이상 소견을 나타내며 심실성 빈맥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mTWA와 더불어 기존의 위험예측인자가 심근경색 후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방 법:78명의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mTW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597 - 604
Main Authors 황교승, 전대근, 최운정, 유상용, 안성균, 최정현, 최병주, 정진국, 최태영, 최소연, 윤명호, 신준한, 탁승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심장학회 01.08.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520
1738-55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심근경색 환자에서 돌연사의 주요 원인인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은심근경색 치료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Micro-volt level T-wave alternans(mTWA)는 심박수에 따른 재분극의 이상 소견을 나타내며 심실성 빈맥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mTWA와 더불어 기존의 위험예측인자가 심근경색 후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방 법:78명의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mTWA, 좌심실 구혈율,late potentials, heart rate variability 등을 측정하고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는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결 과:mTWA의 측정결과는 총 78명 중 양성 16명(21%), 음성 37명(47%), 불확정 25명(32%)이었다. 평균 12±3개월 간의 추적관찰 기간 중 7명에서 치사성 부정맥이 발생하였다. 위험예측인자 중 mTWA(relative risk 12.0, 95% confidence interval 1.2 to 118.1, p=0.01)와 좌심실기능부전(relative risk 11.0, confidence interval 1.9 to 65.0, p=0.002)이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 특히 mTWA는 좌심실기능부전, 혹은 mTWA 와 좌심실부전이 동시에 있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민감도,비교위험도, 음성예측율은 가장 높았고 특이도, 양성예측율은 가장 낮았다.결 론:mTWA는 심근경색 후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좌심실기능부전과 더불어 치사성 부정맥의 발생을 예측하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prevention of sudden death in patients with a myocardial infarction (MI)remains the therapeutic target. T-wave alternans is as a heart rate dependent measure of repolarization, whichcorrelates with ventricular arrhythmia vulnerability.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whether microvolt-levelT-wave alternans (mTWA) can predict lethal arrhythmic events, and compare their role with other risk indicesin predicting lethal events following a MI. Subjects and Methods:The mTWA was analyzed in 78 MI patients,using a power-spectral method during bicycle exercise testing. Additionally,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EF), late potentials (LP)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also measured. Results:The mTWA was positive in 16patients (21%), negative in 36 (46%) and indeterminate in 21 (33%). Lethal arrhythmic events developed in 7patients (3 sudden deaths, 3 ventricular tachycardia and 1 ventricular fibrillation), during a mean follow-up of12±3 months. The even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positive mTWA (relative risk 12.0, 95%CI 1.2 to 118.1, p=0.01) or lower EF (<40%)(relative risk 11.0, CI 1.9 to 65.0, p=0.002). The mTWA testexhibited the highest sensitivity, relative risk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but the lowest specificity; positivepredictive values were observed compared with the EF or a combination of the two indices. Conclusion:mTWA was closely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lethal arrhythmic events in patients with a MI. Therefore, mTWAwith a lower EF could be a useful screening test for the prediction of potentially lethal arrhythmic events followinga MI.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708.2005.35.8.007
ISSN:1738-5520
1738-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