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 조류의 변화

2003년 6월에 고군산군도와 비응도를 완전히 연결한 새만금 4호 방조제의 완공이 연안역 표층 M2 조류분포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과 2004년에 HF radar로 관측된 유동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 와 유속계 계류에 의해 관측된 자료는 좋은 일치를 보였다. M2 조류는 관측구역 내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성을 보 였으며 방조제 완전 체절로 인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지는 않았다. 2002년에는 방조제의 미체절 구간을 통해 서쪽 으로 향하던 ebb jet가 관측되었지만, 2004년에는 이 흐름이 나타나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ada (Hanʼguk Haeyang Hakhoe) pp. 37 - 48
Main Authors 이상호, 손영태, 김창수,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학회 01.05.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978
2671-88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2003년 6월에 고군산군도와 비응도를 완전히 연결한 새만금 4호 방조제의 완공이 연안역 표층 M2 조류분포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과 2004년에 HF radar로 관측된 유동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 와 유속계 계류에 의해 관측된 자료는 좋은 일치를 보였다. M2 조류는 관측구역 내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성을 보 였으며 방조제 완전 체절로 인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지는 않았다. 2002년에는 방조제의 미체절 구간을 통해 서쪽 으로 향하던 ebb jet가 관측되었지만, 2004년에는 이 흐름이 나타나지 않았다. 방조제 완전체절로 인하여 금강하구 입구부근에서 유속이 증가하였고, 고군산군도 및 방조제 부근에는 유속이 감소하였으며 최강 창조류의 방향이 동서 방향에서 남북방향으로 변화되었고 최강 창조류 발생시각이 늦어졌다. 연도 주변해역에서도 최강 창조류 방향이 시 계방향으로 변경되었으나 최강 창조류 발생시각은 오히려 빨라졌다. 이러한 M2 조류타원 특성의 변화는 방조제 체 절의 영향이 연도와 말도를 잇는 지역까지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HF radar-derived current data obtained in 2002 and 2004 a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mpletion of the Saemangeum 4th tidal dyke in June 2003, connecting Gogunsan-Gundo and Bieung-Do, on the coastal surface M2 current pattern.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s by HF radar and current meter mooring showed good agreements.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2 current in the observed area did not change with the dyke construction. Strong westward ebb jet from the gap of the dyke was observed in 2002 but disappeared in 2004. The complete closing of the dyke gap caused the current speed increase around the mouth of the Keum River estuary, decrease around Gogunsan-Gundo and the dyke,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of maximum current to northward from eastward and the delay of the maximum flood current occurrence around Gogunsan-Gundo and the dyke. Around Yeon-Do, the maximum flood current directed more clockwise and occurred rather earlier. These changes of the M2 current ellipse characteristics imply that the effects of the dyke construction reached the area connecting Mal-Do and Yeun-Do. KCI Citation Count: 15
Bibliography:G704-000255.2006.11.2.002
ISSN:1226-2978
2671-8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