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감귤 품종과 재배지역별 β-Cryptoxanthin 함량 비교 분석
본 연구는 감귤류의 β-CRX 함량 정보 구축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조생종인 궁천조생, 하례조생, 흥진조생과 극조생인 유라조생, 일남1호, 그리고 만감류인 신예감, 황금향, 천혜향, 한라봉을 샘플링 후 분석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감귤 품종인 궁천조생을 제주시와 서귀포시로부터 샘플링하여 β-CRX 함량을 분석하였다. 신뢰성 있는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직선성과 특이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82, 2.49 μg/mL로 나타났다. 정밀성 분석을 위한 일내...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3; no. 10; pp. 1007 - 101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4.53.10.100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감귤류의 β-CRX 함량 정보 구축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조생종인 궁천조생, 하례조생, 흥진조생과 극조생인 유라조생, 일남1호, 그리고 만감류인 신예감, 황금향, 천혜향, 한라봉을 샘플링 후 분석법을 선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감귤 품종인 궁천조생을 제주시와 서귀포시로부터 샘플링하여 β-CRX 함량을 분석하였다. 신뢰성 있는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분석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직선성과 특이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82, 2.49 μg/mL로 나타났다. 정밀성 분석을 위한 일내 및 일간 분석의 RSD 값은 4.33%, 7.94%로 확인하였으며, 모든 수치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기준에 충족하여 본 분석법의 신뢰성 확보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9종의 품종으로부터 β-CRX 함량을 분석한 결과, 만감류보다 조생종 품종의 β-CRX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궁천조생, 하례조생, 흥진조생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가로 제주시 9개 농가와 서귀포시 28개 농가로부터 재배된 궁천조생 품종 감귤의 β-CRX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시와 서귀포시 궁천조생의 평균 β-CRX 함량은 각각 1,259.79와 1,230.53 μg/100 g FW로 지역 간 β-CRX 함량은 비슷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수행되어 본 데이터의 신뢰도가 확보되었기에 이를 토대로 재배 지역의 토양화학 성분과 시비량 등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추후 감귤류의 카로티노이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고 β-CRX 함유 감귤 재배를 위한 토양 조건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β-Cryptoxanthin (β-CRX) is a carotenoid tha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due to its high availability and functionality in the human body. Unlike other vegetables and fruits, β-CRX is particularly abundant in citrus frui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 analytical method for β-CRX and determine its content in domestic citrus variet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Gungcheon-josaeng, Harye-josaeng, and Hongjin-josaeng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ontent compared to other varieties. The β-CRX content of the Gungcheon-josaeng samples (n=37) collected from Jeju-si and Seogwipo-si exhibited an average content of 1,259 and 1,230 μg/100 g FW,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amples from the two regions. Although β-CRX is an important functional compound in mandarin, which belongs to the citrus family, data on the β-CRX content of citrus grown in Korea are scarce.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high β-CRX-containing citrus.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4.53.1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