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국내산 호두(Juglans regia)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의 뇌 해마세포 보호 효과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호두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평가를 위해 총 폴리페놀 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총 탄닌 화합물,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철의 환원 능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 AChE의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EFGC의 철의 환원 능력과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타민 C, 카테킨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T22 세포에서 PM2.5로 유도되는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 능력을 평가해 보았을 때 우수한 세포...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9; pp. 997 - 1006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9.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9.997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호두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평가를 위해 총 폴리페놀 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총 탄닌 화합물,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철의 환원 능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 AChE의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EFGC의 철의 환원 능력과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타민 C, 카테킨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T22 세포에서 PM2.5로 유도되는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 능력을 평가해 보았을 때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FGC는 caspase-1, BAX, p-JNK, BCl-2 및 p-NF-κB와 같은 염증성 인자와 세포사멸 관련 인자의 발현을 개선함으로써 PM2.5로 유발되는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EFGC가 PM2.5로 유도된 뇌 신경세포 독성에 대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산업적인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domestic walnut (Juglans regia) as a Gimcheon 1 ho (EFGC) cultivar on particulate matter (PM)2.5-induced cytotoxicity in hippocampal HT22 cells. EFGC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total tannin contents compared to other fractions. In addition, EFGC showed significant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The EFGC presented an inhibitory effect of malondialdehyde (MDA) produc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The EFGC effectively de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ontents and cellular death on hippocampal cells against PM2.5 cytotoxicity. The EFGC improved inflammatory reaction and apoptosis by regulating protein expression, such as BCl-2, p-JNK, BAX, caspase-1, and p-NF-κB.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2.51.9.9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