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측정법을 이용한 담마검의 연화점 분석 연구

본 연구는 다양한 측정 기구를 통해 담마검의 연화점을 측정한 연구로써, 현행 시험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ring and ball 방법을 기본 원리로 하여 수동 승온법, 자동 승온법, 자동 측정법으로 각각 연화점 측정을 진행하였다. 세 가지 방법을 통한 연화점 측정은 analytical method validation을 통해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며, 서로 다른 세 곳의 분석기관에서 동시 분석을 진행하여 기관에 따른 오차나 분석일차, 그리고 분석자와 같은 차이에도 타당성을 가진 결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을 통해 얻은 담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12; pp. 1319 - 1323
Main Authors 박현진(Hyeonjin Park), 윤소정(Sojeong Yoon), 정향연(Hyangyeon Jeong), 반영란(Younglan Ban), 홍성준(Seong Jun Hong), 조성민(Seong Min Jo), 이양봉(Yang Bong Lee), 신의철(Eui-Cheol Shi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12.131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다양한 측정 기구를 통해 담마검의 연화점을 측정한 연구로써, 현행 시험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ring and ball 방법을 기본 원리로 하여 수동 승온법, 자동 승온법, 자동 측정법으로 각각 연화점 측정을 진행하였다. 세 가지 방법을 통한 연화점 측정은 analytical method validation을 통해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며, 서로 다른 세 곳의 분석기관에서 동시 분석을 진행하여 기관에 따른 오차나 분석일차, 그리고 분석자와 같은 차이에도 타당성을 가진 결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실험을 통해 얻은 담마검의 연화점은 수동 승온법에서 77.41°C, 자동 승온법에서 87.20°C, 자동 측정법에서 87.33°C로 확인되었다. 식품첨가물공전에 제시되어 있는 담마검의 연화점인 86.00~90.00°C와 비교하였을 때, 수동 승온법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소재의 순도(food grade가 아닌 일반용 샘플)의 차이가 연화점 물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동 측정에서 end-point를 결정하는 실험자의 판단에 따른 오차가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승온의 일정한 속도 역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화점 분석 결과, 수동 승온법보다 일정한 온도 승온 방식이나 end-point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 좀 더 표준화된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determining the softening point of dammar gum. The softening point value of dammar gum is presen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To determine the softening point,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ring and ball method for manual-heating, automatic-heating, and automatic-measurement presen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of Korea.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was conducted to ensure a precise measurement of the softening point. The softening point of dammar gum was 77.41°C with a %RSD of 0.22∼5.59% in the manual-heating method, 87.20°C with a %RSD of 0.43∼1.68% in the automatic-heating method, and 87.33°C with a %RSD of 2.33% in the automatic-measuremen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recision of the experimental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matic-heating method and automatic-measurement method, which provided results within the range (86.00∼90.00°C) of the softening point value of dammar gum provided in the current Food Additives Code, are appropriate for softening point analysi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12.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