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형성과정: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형성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을 개발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결과: 축 코딩을 통해 중심현상인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나’ 정립하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부딪침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개인적 역량, 교육적 욕구, 업무환경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인정, 자율성, 전문성이었고, 작용·상호작용은 무관심-현실타협-자기주도적으로 구분되었으며, 결과는 불만족-기계...
Saved in:
Published in | 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pp. 1 - 1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간호행정학회
01.01.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330 2288-4955 |
DOI | 10.11111/jkana.2025.31.1.1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형성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을 개발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trauss와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결과: 축 코딩을 통해 중심현상인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나’ 정립하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부딪침으로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은 개인적 역량, 교육적 욕구, 업무환경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인정, 자율성, 전문성이었고, 작용·상호작용은 무관심-현실타협-자기주도적으로 구분되었으며, 결과는 불만족-기계적 간호, 양가감정-기술적 간호, 자아실현-질적·독립적 간호로 도출되었다. 선택 코딩을 통해 핵심범주는 ‘나와 타인에게 바람직한 간호사가 되어감’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을 가진 간호사에 의해 우리 시대에 필요한 간호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나’ 정립하기를 위한 간호사의 자기의지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간호사의 노력을 동기부여하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 간호업무환경, 자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제도적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professional nursing intuition is acquired and develop a corresponding theory.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Results: Through axial coding, conflict was identified as the causal condition directly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me’ as a professional nurse, the central phenomenon. Personal competence, educational needs, and work environment were revealed as the contextual conditions. Social recognition,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were the mediating conditions. The actions and interactions were divided into indifference-realistic and compromise-selfdirected. Dissatisfaction-mechanical, ambivalence -technical, and self-actualization-qualitative and independent nursing were derived. Through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derived as ‘becoming a nurse is desirable for myself and others.’ Conclusion: To meet the contemporary need for nurses with professional intuition. It was confirmed that nurses must demonstrate self-will and make continuous efforts to establish ‘me’ as professional nurses. To motivate nurses to acquire professional intuition, measures for soci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work environment,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9330 2288-4955 |
DOI: | 10.11111/jkana.2025.3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