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 기법과 AHP를 이용한 글로벌 창업이주 요인 탐색 연구: 국내 인바운드 사례를 중심으로
Startups are recognized as the vitality of the economy, and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competitive overseas entrepreneurs and startups to their own startup ecosystem. In this global trend, entrepreneurs cross the border without hesitation, expecting abundant available resources and a startup...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7; no. 4; pp. 31 - 4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7.4.202208.31 |
Cover
Summary: | Startups are recognized as the vitality of the economy, and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competitive overseas entrepreneurs and startups to their own startup ecosystem. In this global trend, entrepreneurs cross the border without hesitation, expecting abundant available resources and a startup friendly environment. Despite the increasing frequency of start-up migration between countries, studies related to this are very rare. Therefore, this study has chosen the cross-border migration of startups between countries as a research topic, and those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cross-border entrepreneurial migration to South Korea as a research sample.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ages. The first research stage hires a Delphi method to collect expert opinions and find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global startup migration. Drawing on the prior literature on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age is to conduct expert interviews in order to discover underlying factors and subfactors important for global migration of startups. The second stage measures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and subfactors using the AHP model. The priorities of factors and factors were identified hiring the overseas entrepreneurs who moved to Korea as the AHP survey sam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nteresting implications. First, a group of entrepreneurs with nomadic tendencies was found in the trend of global migration of entrepreneurs. They had already started their own businesses with the same business ideas in multiple countries before settling down in Korea. Second, important unique factors and subfactors in the context of global start-up migration were identified. A good example is the government's support package, including start-up visas. Third, it was possible to know the priority of the factors and subfactors that influence the global migration of startu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emptively conducted exploratory research focusing on a relatively new phenomenon of global startup migration, which recently catches attention in the global startup ecosystem. At the same time,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meanings found in this study becau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se of South Korea 스타트업이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며 각국은 경쟁력 있는 해외창업가와 스타트업을 자국 창업생태계에 유치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듯 창업가들은 풍부한 가용 자원 및 창업 친화적인 환경을 따라 태어난 국가에 연연하지 않고 새로운 사업을 개척하기 위해 주저 없이 국경을 넘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국가 간 창업 이주가 점차 빈번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과 이론 연구의 간극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국가 간 창업이주를 연구주제로 삼았다. 그리고 한국으로의 글로벌 창업 이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 단계의 개별적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글로벌 창업이주와 관련된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고 이주의 주요 요인을 찾기 위한 델파이 기법의 적용이다. 이는 국가 차원의 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선행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 이주에 중요한 고유요인과 하위요인, 즉 창업이주의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 번째 단계는 AHP 모델을 이용한 중요도 측정이다. 중요도 측정은 한국으로 이주한 해외 창업가를 연구 표본으로 사용하여 글로벌 창업이주의 요인과 요소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흥미로운 사회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창업가의 글로벌 이주의 흐름 속에 유목민적 성향을 가진 창업자 집단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국내에 정착하기 전 이미 여러 다수의 국가에서 동일한 아이템으로 창업을 한 경험이 있다. 둘째, 글로벌 창업 이주의 맥락에서 중요한 고유요인과 요소가 존재했다. 창업 비자를 포함한 정부의 글로벌 창업 이주 지원정책 패키지가 좋은 예시이다. 셋째, 글로벌 창업자들이 국내로 창업이주를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글로벌 창업생태계에서 주목을 받고있는 글로벌 창업이주라는 비교적 새로운 사회 현상을 중심으로 하여 선제적인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국내로 이주한 글로벌 창업자들을 한정된 샘플로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함의가 넓은 범위에서의 일반화가 어렵다는 한계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30649349523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7.4.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