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성사지운동증의 임상적 의의
임상의가 PLMS를 낮추는 적극적인 행동을 시작하기 위 해서는 1) PLMS의 원인이 무엇인지, 도파민계의 이상, 각성 등이 PLMS를 일으키는(Hornyak 등 2006) 구체적인 기전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2) 두 번째로는 PLMS가 증 가된 것이 동반된 각 질환 및 임상 상황(예를 들어, 항우울제 복용과 같은 임상 상황)에서 어떤 임상적 의의를 가지는 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셋째로는 PLMS가 증가된 각 상황에서 PLMS를 낮추는 시도를 하는 것이 어떤 임상적 이득을 가져오는지 정교한 연구 설계를 통해...
Saved in:
Published in | Sumyŏn--chŏngsin saengni Vol. 30; no. 1; pp. 1 - 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수면의학회
30.06.2023
The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7354 2713-8631 |
DOI | 10.14401/KASMED.2023.30.1.1 |
Cover
Summary: | 임상의가 PLMS를 낮추는 적극적인 행동을 시작하기 위 해서는 1) PLMS의 원인이 무엇인지, 도파민계의 이상, 각성 등이 PLMS를 일으키는(Hornyak 등 2006) 구체적인 기전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2) 두 번째로는 PLMS가 증 가된 것이 동반된 각 질환 및 임상 상황(예를 들어, 항우울제 복용과 같은 임상 상황)에서 어떤 임상적 의의를 가지는 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셋째로는 PLMS가 증가된 각 상황에서 PLMS를 낮추는 시도를 하는 것이 어떤 임상적 이득을 가져오는지 정교한 연구 설계를 통해 밝혀내는 것 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라 이번 특집 종설에서는 PLMS가 다양한 임 상 질환과 수면 장애에서 어떠한 임상적 의의를 지니는 지, 특히 사망율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지 정리해보고자 했다. 이번 특집 종설이 임상 현장에서 PLMS를 자주 맞딱뜨리는 임상의들에게 조금의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05062295117 |
ISSN: | 1225-7354 2713-8631 |
DOI: | 10.14401/KASMED.2023.3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