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본 대기업-스타트업 개방형 혁신 성공 요인 분석: 대기업 ‘G사’와 스타트업 ‘S사’의 협업 사례를 중심으로
Based on the case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tartup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relationships for the success of open innovation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ame theory.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th...
Saved in:
Published in | 벤처창업연구 Vol. 19; no. 2; pp. 159 - 17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9.2.202404.159 |
Cover
Summary: | Based on the case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tartup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relationships for the success of open innovation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ame theory.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how this can be implemented. Due to information asymmetry and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cision-making structures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tartups, collaboration is likely to proceed in the form of non-cooperative games among players in general open innovation, leading to the paradox of open innovation, which lowers the degree of innov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y 'G' and startup 'S'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 "How did we successfully promote open innovation through cooperative game-type collaboration?" The study found that successful open innovation requires (1) setting clear collaboration goals to solve the organizational problem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tartups, (2) supporting human resources for qualitative growth of startups to solve reliability problems, (3) leading to strategic investment and joint promotion of new projects to solve the profit distribution probl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iscussion of the success factors of open innovation to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nd strategic judgment consider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decision-making structure among players, and empirically confirming the success conditions of open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ame theory. 본 연구는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 사례를 기반으로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호 협력과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제시하고, 어떻게 이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보의 비대칭성, 그리고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조직문화와 의사결정구조의 차이로 인해 일반적인 개방형 혁신에서는 참가자들 간의 비협조적 게임 형태로 협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혁신의 정도가 낮아지는 개방형 혁신의 역설(the open innovation paradox) 현상으로 귀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개방형 혁신을 협조적 게임 형태의 성공적인 협업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연구문제에 기반하여 대기업 'G사'와 스타트업 'S사'와의 정보비대칭 상황에서 협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개방형 혁신을 위해서는 (1) 대기업-스타트업 간 조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사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명확한 목표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 (2) 신뢰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질적성장을 위한 인력파견 등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 (3) 이익배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투자와 신사업 공동 추진으로 연결되는 유기적 협업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 성공 요인에 대한 논의를 참가자들 간의 조직 문화와 의사결정구조를 고려한 상호작용과 전략적 판단의 중요성으로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협조적 게임이론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의 성공 조건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14935056415 |
ISSN: | 1975-7557 2671-9509 |
DOI: | 10.16972/apjbve.19.2.202404.1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