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66 dental students in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5) Vol. 18; no. 5; pp. 376 - 38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5.376 |
Cover
Summa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66 dental students in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presented task information using textbook. As a result for the study, First,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in clas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tooth carving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Second, tooth morphology knowledge in control group presenting task information using the text book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in experimental group which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the 3D model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lass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can be enhances class satisfa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tooth carv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지식, 수행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의학 전공 대학생 66명을 대상으로 3D 모델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텍스트와 삽화로 구성된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통제집단에 각각 33명씩 배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과제정보 집단(통제집단)이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집단보다 치아형태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치아카빙 수행 능력 향상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 집단의 수업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아형태학 수업에서 3D 모델링을 제공하는 것은 수업만족도를 높여주며, 치아카빙 수행 향상을 돕는 교육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17240823219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8.18.05.3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