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수업에서 교육과정 편성 과제에 대한 동기 설계가 학습자의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subject interests and task difficulty recognition levels changed when they provided tasks with Keller's ARCS motivation design in PBL(Problem Based Learning) class. This study participant were 7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Experimental a...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 Vol. 20; no. 1; pp. 334 - 344
Main Author 이은철(Eun-Chul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1.33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plored students' subject interests and task difficulty recognition levels changed when they provided tasks with Keller's ARCS motivation design in PBL(Problem Based Learning) class. This study participant were 7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eaching professio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ere formed for the study. Primary PBLs were conducted to measure prior levels of subject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recognition. Secondary PBL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RCS motivation design task.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tasks that reflected the ARCS motivation desig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ubject interest and a lower level of task difficulty recognition. 본 연구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에서 학생들에 수행하는 과제에 켈러의 ARCS에 의해 동기설계를 반영하였을 때, 학습자의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일반교직을 전공하는 대학생 7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교과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의 사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차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동기 설계가 반영된 과제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차 PBL 활동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동기설계가 반영된 과제를 수행하였고, 비교집단은 동기설계가 반영이 되지 않은 과제를 수행하였다. 2차 PBL 활동이 종료된 후에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 수준을 공변량으로 선정하여 ANCOVA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교과흥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007658765841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0.20.0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