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 영향요인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J 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30일까지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이변량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은 평균 3.45점이었으며 성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희롱 인식은 자아존중감, 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5; pp. 955 - 962
Main Author 이수진(Su-J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5.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J 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19일부터 3월 30일까지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이변량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은 평균 3.45점이었으며 성별,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희롱 인식은 자아존중감, 성 역할 고정관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성 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13.4%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nd investigate on the factors influencing of the sexual ha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66 nursing college students at 2 universities in the J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2.0 program as follow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verage score were 3.45 for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age. The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s. The gender and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elf-esteem w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the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the explanatory power was 13.4%.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http://dx.doi.org/10.9728/dcs.2018.19.5.955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18.19.5.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