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물 및 영양염류로 오염된 해양퇴적물 정화를 위한 석회석, 모래, 제올라이트의 반응성 피복 소재로서 적용성 평가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calcite, sand, and zeolite for the remediation of sediments contaminated with organics and nutrients were investigated. Sediments and seawater for water tank experiments were sampled from Pyeongtaek harbor, and 1 cm or 3 cm of calcite, sand, and zeolite were capp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Vol. 39; no. 8; pp. 470 - 477
Main Authors 강구(Ku Kang), 박성직(Seong-Jik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17.39.8.47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calcite, sand, and zeolite for the remediation of sediments contaminated with organics and nutrients were investigated. Sediments and seawater for water tank experiments were sampled from Pyeongtaek harbor, and 1 cm or 3 cm of calcite, sand, and zeolite were capped on the sampled sediments. pH, electric conductivity (EC), dissolved oxygen (DO),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monitored for 63 days. The sampled sediments were highly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DO in uncapped condition was exhausted within 10 days but DO in capping condition except 3 cm of zeolite capping was prolonged above 2 mg/L. Capping efficiency for interrupting COD release from sediments was in the following order: zeolite 1 cm > calcite 1 cm > calcite 3 cm > sand 3 cm ${\cong}$ zeolite 3 cm ${\cong}$ sand 1 cm. Zeolite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interrupting nitrogen release. T-P was not observed in both uncapped and capped sediment, i.e., all experimental condi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zeolit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remediation of sediments highly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ter and nitrogen.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 및 영양염류로 오염된 해양퇴적물 정화를 위한 석회석, 모래, 제올라이트 피복 공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수조 실험을 위한 퇴적물 및 해수 시료는 평택항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 위에 석회석, 모래, 제올라이트를 1 cm 또는 3 cm 두께로 피복하였다. 63일 동안 수층의 수소이온 농도(pH), 전기전도도(EC), 용존 산소(DO),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을 측정하였다. 평택항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과 총질소 오염이 높게 나타났다. 미피복 수조에서는 실험 시작 후 10일 이내에 DO가 고갈되었지만, 제올라이트 3 cm 피복을 제외하고 모든 피복 조건에서는 실험 기간 동안 용존 산소는 2 mg/L 이상 유지되었다. COD의 용출 차단 효율은 제올라이트 1 cm > 석회석 1 cm > 석회석 3 cm > 모래 3 cm ${\cong}$ 제올라이트 3 cm ${\cong}$ 모래 1 cm 순으로 나타났다. 질소의 용출 차단에는 제올라이트 피복이 효과적이었다. T-P는 미피복 및 피복 수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제올라이트는 유기물 및 질소 농도가 높은 오염퇴적물 정화를 위한 피복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22965909507
ISSN:1225-5025
2383-7810
DOI:10.4491/KSEE.2017.39.8.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