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지역의 초등학생 대상 당 저감화에 관한 소비자 인식 및 관련 교육 효과 분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related to suga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intake related to sugar was conducted on 572 students in grades...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3; no. 3; pp. 303 - 31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0.53.3.303 |
Cover
Summary: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related to suga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intake related to sugar was conducted on 572 students in grades 4-5, who were attending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Among the survey subjects, 270 (49.8%) were cognitive in education, and 302 (50.2%) were non-cognitive. The sugar-related knowledge score was 3.67 points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3.55 points in the non-cognitive group. The rate of checking the sugar content in the nutrition label was 31.2%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cognitive group, 15.4%.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unsweetened candy, jelly, and raw fruits, and higher sugar intake of unsweetened bread, white milk, and raw fruits than the non-cognitive group. In the case of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the total knowledge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ood behavior scor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purchasing snacks after school, and the average sugar intake per day. In the cognitive education group only, the education of nutrition teachers was analyzed as a factor to reduce the total sugar intake. The cognitive group of sugar education tried to eat foods with a lower sugar content than the non-cognitive group, and nutrition educ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ugar intake. Conclusion: To reduce the sugar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practice oriented-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various types of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related to sugar that can be utilized easily by nutrition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당 관련 영양교육이 당 섭취에 관한 영양지식과 영양태도, 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당 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당 교육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나누어 영양지식과 식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 대상자 중 당 교육을 받았다고 인지한 교육 인지군은 270명 (49.8%) 이었고, 비인지군은 302명 (50.2%) 이었다.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이론적 지식 점수를 보면 교육 인지군 3.67점, 비인지군 3.55점으로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바른 행동에 대한 지식 점수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섭취 관련식행동 점수, 음료 선택 및 간식 구매 빈도는 당 교육 인지 여부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표시에서 당류 함량을 확인하는 비율은 교육 인지군이 31.2%로 비인지군 15.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이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보면 교육 인지군이 비인지군에 비해 무가당 캔디나 젤리류, 생과일류의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품군별 당류 섭취량은 달지 않은 빵류, 흰 우유 및 생과일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당 관련 지식 점수와 식행동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교육 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초콜릿, 탄산음료를 덜 먹으려는 행동과는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 구입 빈도, 평균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인지군의 경우 식행동 점수, 아이스크림, 빵을 먹을 때 잼을 덜 먹는 행동 및 과일 섭취 시 설탕을 덜 먹으려는 식행동과 양의 상관성을, 방과 후 간식구입 빈도 및 당류 섭취량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비인지군에 비해 교육 인지군에 좀더 높은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또한 하루 총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 인지군에서만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총 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당 교육을 인지한 대상자들이 비인지군에 비해 당류 함량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영양교사의 교육 여부가 당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의 당류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학교의 영양 전문가인 영양(교)사에 의해 지속적이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중심의 영양교육이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당 관련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020264316658 https://www.e-jnh.org/DOIx.php?id=10.4163/jnh.2020.53.3.303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0.53.3.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