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전염병 전후 대구 대학가 유동인구 분석 – 서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mporal structure and movement of floating people near university areas in Daeg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Covid-19. In order to determine Daegu's position, the current study compares Daegu and Seoul. The floating population is used as an ind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3) Vol. 22; no. 3; pp. 62 - 70
Main Authors 김재훈(Jae-Hun Kim), 손지훈(Ji-Hoon Son), 박한우(Han-Woo Par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3.06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mporal structure and movement of floating people near university areas in Daegu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Covid-19. In order to determine Daegu's position, the current study compares Daegu and Seoul. The floating population is used as an index to reveal people's various activities in the area known as the local business district, which surrounds the university campus. The information was provided by mobile phone manufacturers. A municipal authority managed a public website where mobile data was made available. Several statistical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used after the data pre-processing steps. As a result, the floating population fluctuation patterns in both cities in the first half of 2019 and 2020 were comparable. When the Covid-19 diffusion rate in Daegu stabilized in the second half of 2020, the floating population in Daegu increased slightly over the previous year, while the population in Seoul decreased due to the second wave of Covid-19. 이 연구는 통신사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 기간 전후 대구의 대학가 유동인구 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 대학가와 비교하면서, 대구에서 나타난 현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슷한 재학생 수를 지닌 경북대와 고려대로 선정하였다. 통신사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공 웹사이트에서 각 대학 소재지 인근의 유동인구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두 도시 간 유동인구에서 나타난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기간을 나누어 선형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20년 상반기에서는 두 도시의 패턴이 유사하였지만, 하반기 코로나의 확산세가 안정된 대구는 유동인구가 2019년 대비 오히려 증가하였고 서울은 감소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단기적인 선형성 또한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서 도시의 특성과 코로나의 확산 정도 등에 따라 유동인구가 변화하는 패턴을 확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11258159667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2.22.03.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