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창의적 리더십, 조직신뢰,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과정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as a study on innovation, a concept that can develop and maintain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f...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 Vol. 21; no. 1; pp. 162 - 17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1.162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as a study on innovation, a concept that can develop and maintain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creative leadership and tests th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behavior through various variabl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ly defined creative leadership and job enthusiasm and organizational trust is tested in the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ird,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thusiasm and organizational trust, which are parameters, innovation behaviors of public officials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finddings are as follows. job enthusiasm, organizational trust, and creative leadership were suggested as prerequisites that directly influence the innovation behavior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경영과 공무원 조직의 환경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개념인 혁신에 대한 연구로 리더십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리더십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다양한 변수를 통한 혁신행동과의 관계성을 검정한다. 둘째, 개념적으로 정의된 창의적 리더십과 직무열의 및 조직신뢰와의 관계를 교육행정직 공무원 조직에서 검정한다. 셋째, 매개변수인 직무열의와 조직신뢰가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대한 교육행정직 공무원 조직이 지속적인 혁신행동을 달성하기 위해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육행정직 공무원 25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3과 AMOS 23을 통하여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교육행정직 공무원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으로 직무열의와 조직신뢰 그리고 창의적 리더십을 제시하였다. 창의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지만 직무열의와 조직신뢰를 통하여서도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03562771164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1.21.01.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