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 특성에 따른 모노펄스 레이더 불확도 연구

In general, an error budget of monopulse radar is proposed by manufacturer who assuming that all of external enviromental error resources such as multipath, glint, dynamic lag variation are removed. So until now, a measurement uncertainty of monopulse radar can be discussed including external envir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1; no. 1; pp. 229 - 236
Main Authors 장용식(Yong-sik Jang), 류충호(Chung-ho Ryu), 김환우(Whan-w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7.21.1.2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In general, an error budget of monopulse radar is proposed by manufacturer who assuming that all of external enviromental error resources such as multipath, glint, dynamic lag variation are removed. So until now, a measurement uncertainty of monopulse radar can be discussed including external enviromental error resources. In this paper, it is described that which kinds of error resource can effect on monopulse radar measurement uncertainty for different target property. To prove it experimentally, at first a simulation result is described assuming that all of external enviromental error resources are removed. It only includes receiver thermal noise. And then, monopulse radar measurement uncertainty estimation results tracking on calibration target which is fixed on specific position, calibration sphere which is moving slowly, weapon systems firing test which is moving fast are described quantitativly. All of these targets have different dynamic property. 일반적으로 모노펄스 레이더의 오차 수준은 다중경로 간섭, 글린트, 동적 지연오차 등의 환경적 오차 요인이 제거된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외부 환경적 오차 요인이 포함된 모노펄스 레이더의 계측 불확도를 추정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특성의 표적에 대해서 어떤 종류의 오차 요인이 모노펄스 레이더 계측 불확도 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먼저 환경적 오차 요인이 완벽히 제거된 이상적인 환경에서의 모의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 결과와 함께 지상에 고정된 교정장치, 저속으로 기동하는 교정구, 고속으로 기동하는 비행표적에 대한 불확도를 추정함으로써 오차 요인이 포함된 각기 다른 특성의 표적에 대한 모노펄스 레이더 계측 불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10758143077
http://jkiice.org
G704-SER000003195.2017.21.1.019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7.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