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미디어 거버넌스론을 바탕으로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치, 다음으로 공영방송 자신 즉 전문직주의 역할로 나타났다. 정치적 요인이 공영방송 KBS 제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KBS 지배구조는 BBC와 같이 정치 독립적인 전문모델을 지향하면서, 이사회 구성과 비율은 정치권 이외의 다양한 이해 세력이 참여하는 독일식 조합 모델을 선호하였다. 셋째, 미래 지향적...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6; pp. 1069 - 107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6.1069 |
Cover
Summary: | 미디어 거버넌스론을 바탕으로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BS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치, 다음으로 공영방송 자신 즉 전문직주의 역할로 나타났다. 정치적 요인이 공영방송 KBS 제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KBS 지배구조는 BBC와 같이 정치 독립적인 전문모델을 지향하면서, 이사회 구성과 비율은 정치권 이외의 다양한 이해 세력이 참여하는 독일식 조합 모델을 선호하였다. 셋째, 미래 지향적 KBS 지배구조 모델은 정치와 시장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난 시민사회(공공) 영역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결국 공영방송 KBS 제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영향이 축소되어야 하고, 공공영역(시민사회)의 성장으로 정치와 시장을 견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Based on the theory of media governance,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KBS system and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governance struc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KBS system are politics, followed by the public broadcasting itself, that is, professionalism. Polit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he public broadcasting KBS Institution. Second, the KBS governance structure, like the BBC, preferred a political independent model, while the board composition and proportions favored a German-style union model involving various stakeholders outside the political circle. Third, the future - oriented KBS governance model requires a change in the civil society (public) sphere that is deviated from the influence of politics and market. In the end, in order for the public broadcasting KBS system to operate stably, the political influence should be reduced,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should be controlled by the growth of the public sphere (civil society).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8.19.6.1069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8.19.6.1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