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the depression of Koreans for the tru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The sample included 13 men and women between 18 and 69 who experienced and recovered from depression. Participants attended interviews producing data, which was analyzed using Con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7) Vol. 17; no. 7; pp. 505 - 526
Main Authors 주은선(Eunsun Joo), 조영임(Young-Im Cho), 김단비(Dan-Bi Kim), 강유진(Yu-Ji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7.5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the depression of Koreans for the true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The sample included 13 men and women between 18 and 69 who experienced and recovered from depression. Participants attended interviews producing data, which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The result yielded 4 domains, the life before depressi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the recovering process of depression, after the recovery of depression.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겪은 한국인들의 우울증 경험을 있는 그대로 충분히 드러내어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울증을 경험하고 회복한 1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 이전 삶, 우울증 경험, 우울증 회복과정, 우울증 회복 후라는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은 관계, 취약한 환경, 심리의 3개 범주, 주관적 경험, 타인 인지 가능의 2개 범주, 회복의 도움, 회복의 걸림돌, 자발적 회복노력의 3개 범주, 회복의 결과, 조언, 경험을 통한 변화의 3개의 범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23839837568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7.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