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측요인 탐색을 위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s of personal, family, peer, school, cyber environment, experience of bullying/victimization factors on cyberbullying perpetrating behavior among students in Korea using meta-analysi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master/doctoral dissertati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5) Vol. 17; no. 5; pp. 18 - 33
Main Authors 김신아(Shinah Kim), 방은혜(Eunhye Bang), 한윤선(Yoonsun H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5.0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sizes of personal, family, peer, school, cyber environment, experience of bullying/victimization factors on cyberbullying perpetrating behavior among students in Korea using meta-analysis. Published academic journals and master/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10.01.01 to 2016.10.31 were identified usi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data base. Keywords for search were cyberbullying, cyber-exclusion, cyber-violence, cyber-harassment, online/SNS peer harassment. A total of 43 studies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Personal factors and experience of bullying/victimization showed moderate effect sizes(0.28~0.29) and peer, family, cyber environment, school domains showed small effect sizes(0.08~0.13). Results of the study may be used to guide effective prevention or intervention strategies against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학교폭력의 연장선상에서 상시적으로 괴롭힘이 이루어지는 '사이버불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개인, 가정, 또래, 학교, 사이버환경, 폭력경험 등과 관련된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국내학술논문 검색사이트(RISS)를 이용하여 201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학술지게제 논문 및 석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사이버불링', '사이버따돌림', '사이버폭력', '사이버괴롭힘', '온라인 및 SNS 또래괴롭힘' 이란 검색어로 선정된 총 4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폭력경험 변인이 중간크기의 효과(0.28~0.29)를 나타냈고 또래, 가정, 사이버환경, 학교변수 순으로 작은 크기의 효과(0.08~0.13)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 사이버불링에 대한 교육적, 사회정책적 대응방안 마련과 직접적인 예방 및 개입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71855587983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7.17.05.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