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생명공학작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작물 성분 DB 구축

The Biosafety Division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has developed a 'Crop Composition DB' that provides analytical data on commercialized crops.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by Compositional Analysi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 45; no. 4; pp. 289 - 298
Main Authors 김은하(Eun-Ha Kim), 이성곤(Seong-Kon Lee), 박수윤(Soo-Yun Park), 이상구(Sang-Gu Lee), 오선우(Seon-Woo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31.12.2018
(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
한국식물생명공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2818
2384-13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Biosafety Division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has developed a 'Crop Composition DB' that provides analytical data on commercialized crops.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by Compositional Analysis'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This database provides the composition of crops cultivated in Korea, and thus upgrades the data to check the extent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al content depending on the cultivated area, varieties and year. The database is a compilation of data on the antioxidant, nutrient and secondary metabolite compositions of rice and capsicum grown in two or more cultivation areas for a period of more than two yea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nder th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or methods previously reported on papers. The data was provided as average, minimum and maximum values to assess whether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M crops and comparative non-GM crops fall within the biological differences or tolerances of the existing commercial crops. The Crop Composition DB is an open-access source and is easy to access based on the query selected by the user. Moreover, functional ingredients of colored crops, such as potatoes, sweet potatoes and cauliflowers, were provided so that food information can be used and utilized by general consumers. This paper introduces the feature and usage of 'Crop Composition DB', which is a valuable tool for characterizing the composition of conventional crops.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는 생명공학기술로 개발되는 작물(GM작물)의 안전성 평가 중 '성분분석에 의한 비교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상업화 작물성분의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작물성분 DB"를 구축하였다. "작물성분 DB"는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 품종들의 영양성분 함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품종과 재배 지역, 연도에 따라 함량의 변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현재 2곳 이상의 재배지역에서 2년 이상 재배한 벼와 고추 시료에 대한 주요 영양분과 항영양소, 2차 대사산물을 검증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데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는 평균값과 최저, 최대값을 제공함으로써 GM작물의 안전성 평가시 GM작물과 대응 비교작물 간에 나타나는 통계적 차이가 기존 상업작물의 생물학적 차이 또는 허용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물성분 DB"는 사용자가 선택한 쿼리를 기반으로 쉽게 검색하고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색미와 감자, 고구마, 콜리플라워와 같은 유색 작물의 기능성 성분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일반 소비자들도 유용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상업작물 성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농진청 "작물성분 DB"의 구성과 사용법을 소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811562300368
ISSN:1229-2818
2384-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