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 추출물 함유 키토산 나노캡슐의 특성 및 항산화 활성

To improve the oxidative stability of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GU), GU extra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maximal antioxidant activity, and GU-loaded nanocapsules were prepared by chitosan ionic gelation. The optimized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were 83.0% and 32.6 min, r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식품과학회지 Vol. 53; no. 4; pp. 479 - 485
Main Authors 김민정(Min Jung Kim), 이지수(Ji-Soo Lee), 이현규(Hyeon Gyu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과학회 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67-6293
2383-963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o improve the oxidative stability of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GU), GU extra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maximal antioxidant activity, and GU-loaded nanocapsules were prepared by chitosan ionic gelation. The optimized ethanol concentration and extraction time were 83.0% and 32.6 min, respectivel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particle size of the GU-loaded nanocapsules ranged from 280 to 370 nm. A GU extract of 0.8 mg/mL and chitosan concentration of 2.0 mg/mL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conditions for entrapment and loading efficiency. Both free GU and GU-loaded chitosan nanocapsules exhibited concentration-dependent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f GU was effectively maintained when it was entrapped within the chitosan nanocapsules. In conclusion, chitosan nanoencapsulation is a potentially valuable technique for improving the oxidative stability of GU.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키토산의 ionic gelation 특성을 이용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키토산/TPP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먼저 반응표면분석을 통해서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감초의 최적 추출조건은 83.01% 에탄올 농도에서 32.6분 동안 추출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감초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각각 20.47 ㎍ RE/mg과 22.32%/mg로 관측되어 예측값과 모두 표준편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감초 추출물과 키토산 농도에서 나노캡슐을 제조한 결과, 약 280-370 nm 범위의 캡슐크기를 나타냈으며 0.3 이하의 PDI를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균일한 나노캡슐이 형성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집효율 및 함유효율을 고려하여 감초 추출물과 키토산 농도를 각각 0.8과 2.0 mg/mL로 결정하였다. 지방과산화 억제능을 통한 APF 측정 결과, 나노캡슐화되지 않은 감초추출물은 반응 후에 급격히 상승되어 반응 4시간에 가장 높은 APF를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된 반면, 감초 추출물 나노캡슐은 초반에는 약한 APF를 나타내다가 꾸준히 증가한 후 유지되어 반응 6시간 이후에는 모든 농도에서 유리 감초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감초 추출물은 키토산 나노캡슐화에 의해서 산화 안정성이 향상됨으로써 항산화 활성의 유지기간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키토산 나노캡슐화는 감초추출물의 항산화 안정성 증대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24462468970
ISSN:0367-6293
2383-9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