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과학분야의 고성능컴퓨팅에 관한 지식단위 연구
국내에서는 계산과학이라는 학문이 초기단계로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고성능컴퓨팅을 기초부터 고급 과정까지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체계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과학 전공자들이 배워야 할 컴퓨터과학에 대한 기본 연구로 고성능컴퓨팅을 배우기 위해 필요한 지식 단위을 도출하였다. ACM의 Computer Science 커리큘럼(CS2013)을 기초로 하여 89개의 지식 단위들에 대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조사하였으며 검증된 11개의 지식단위에 대해 전문가를 통해 6개의 핵심 지식 단위와 2개의 선택 지식 단위를 제안되었다....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5; pp. 1021 - 1026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8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18.19.5.1021 |
Cover
| Summary: | 국내에서는 계산과학이라는 학문이 초기단계로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고성능컴퓨팅을 기초부터 고급 과정까지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체계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과학 전공자들이 배워야 할 컴퓨터과학에 대한 기본 연구로 고성능컴퓨팅을 배우기 위해 필요한 지식 단위을 도출하였다. ACM의 Computer Science 커리큘럼(CS2013)을 기초로 하여 89개의 지식 단위들에 대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조사하였으며 검증된 11개의 지식단위에 대해 전문가를 통해 6개의 핵심 지식 단위와 2개의 선택 지식 단위를 제안되었다. 제안된 지식단위들은 계산과학 전공들에게 필요한 고성능컴퓨팅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utational science is at an early stage and is not yet fully active, and the high-performance computing required in the field of computational science is at present a special subject of parallel and distributed computing in computer science. Additionally, there are too few education courses which teach high-performance computing from basic to advanced levels. In this study, we derive the knowledge units needed to learn high-performance computing, an important research tool in computational science. Using ACM the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CS2013), we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89 knowledge units and eleven knowledge units with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which nine core knowledge units and two optional knowledge units are proposed. The eleven proposed knowledge uni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igh-performance computing curriculum necessary to teach computational science.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8.19.5.1021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18.19.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