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802.15.6 UWB WBAN에서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성능 평가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The packet structure in the physical layer, and encoding and decoding are considered for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WB WBAN. We analyze the d...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21; no. 7; pp. 1313 - 131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17.21.7.1313 |
Cover
Summary: |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The packet structure in the physical layer, and encoding and decoding are considered for multi-hop transmissions in IEEE 802.15.6 UWB WBAN. We analyze the data success rate and energy efficiency of multi-hop transmissions with considering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in IEEE 802.15.6 UWB WBAN. Through simulations, we evaluate the data success rate and energy efficiency of multi-hop transmissions with varying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in IEEE 802.15.6 UWB WBAN. Finally, we can select an energy-efficient multi-hop transmission in IEEE 802.15.6 UWB WBAN depending on the length of data payload, transmission power, and distances between the nodes.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6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에서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성능을 평가한다. IEEE 802.15.6 UWB WBAN에 대한 물리 계층 패킷 구조와 인코딩, 디코딩 과정을 고려한다. 데이터 페이로드의 길이, 전송 전력 세기, 노드들간 거리에 따라 한 홉 전송, 두 홉 전송, 세 홉 전송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을 제안하고 분석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한 홉 전송, 두 홉 전송, 세 홉 전송에서 데이터 페이로드의 길이, 전송 전력 세기, 노드들간 거리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에 대해 비교하고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변수와 상황에 따라 다중 홉 전송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파악하고,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전송 방법을 택하여 전송할 수 있음을 보인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23839836659 http://jkiice.org |
ISSN: | 2234-4772 2288-4165 |
DOI: | 10.6109/jkiice.2017.21.7.1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