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를 위한 노인영양지수 개정 연구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update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hich reflects dietary quality and behavior among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e first 29 items of the measurable food behavior checklist were obtained from a previous NQ-E checklist, recent literature reviews...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55; no. 1; pp. 155 - 173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영양학회
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2.55.1.155 |
Cover
Summary: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update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hich reflects dietary quality and behavior among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e first 29 items of the measurable food behavior checklist were obtained from a previous NQ-E checklist, recent literature reviews,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One-hundred subjects (50 men and 50 women) aged ≥ 65 yea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Gyeonggi Province, completed a pilot survey from March to April 20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we conducted factor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 items of the survey were properly organized and whether the distribution of answers for each evaluation item was properly distributed. As a result, we reduced the number of items on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used 23 items for the national survey. Nationwide, 1,000 subjects (472 men and 528 women) aged > 65 years, completed the checklist survey, which was applied using a face-to-face survey method from May to August 2021.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E 2021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Seventeen food behavior checklist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NQ-E 2021. Checklist items addressed three factors: balance (8 items), moderation (2 items), and practice (7 items).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the weights of items to determine nutrition quotients. NQ-E and three-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s of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The updated NQ-E 2021 produc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provides a suitable tool for assess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 of Korean older adults. 본 연구의 노인영양지수 2021 (NQ-E 2021)은 노인의 식생활 관리 상태를 종합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별 영양진단 도구로 노인영양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수행되었다. NQ-E 2015 체크리스트 항목을 기반으로 하고,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 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5개 항목, 식행동·식습관 영역에서 14개 항목의 총 29개 항목을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로 우선 선정하였다.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설문조사 후 전문가 의견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서 전국 단위조사용 체크리스트로 23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6개 광역시를 기준으로 층화추출한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대면 조사를 수행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3개 요인 (균형, 절제, 실천)으로 분류하고, 확정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17개 항목이 NQ-E 2021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노인영양지수의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균형 0.55, 절제 0.10, 실천 0.35로 수렴되었다. 각 영역별로, '균형' 영역은 과일 섭취,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 달걀 섭취, 콩이나 콩제품 섭취, 견과류섭취, 전곡이나 잡곡류 섭취, 물 섭취 빈도의 8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료나 단 음식 섭취와 기름진 빵이나 스낵 과자류 섭취 빈도의 2개 항목, '실천' 영역에는 건강한 식생활을 하려는 노력, 유통기한이나 영양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기,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숙면, 건강에 대한 자각의 7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2021 평균 점수는 51.7점이었고, 영역별 평균 점수는 균형 44.9점, 절제 52.2점, 실천 62.1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노인영양지수 (NQ-E 2021)는 17개의 간단한 설문항목, 10분 정도의 시간으로 노인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를 판정할 수 있고, 균형, 절제, 실천 영역의 구체적인 등급도 확인할 수 있다. NQ-E 2021은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웹 연동 온라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인 스스로 자신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거나 또는 영양전문가들이 지역사회 주민들의 대면과 비대면 영양관리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이 기대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210242861035 https://e-jnh.org/DOIx.php?id=10.4163/jnh.2022.55.1.155 |
ISSN: | 2288-3886 2288-3959 |
DOI: | 10.4163/jnh.2022.55.1.155 |